프랑스 유력 매체가 "한국 : 잘못된 쿠데타의 전말"이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하면서 12.3 내란을 "윤석열 대통령의 12월 쿠데타"라고 명시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캡처프랑스 유력 매체가 12.3 내란을 '윤석열 대통령의 12월 쿠데타'라고 명시했다.
4일 취재를 종합하면, 프랑스 월간지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2월호에서 "한국: 잘못된 쿠데타의 전말"이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같이 적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는 프랑스 유력지 르몽드의 자매지다.
그동안 해외 주요 언론들은 윤 대통령의 12.3 내란과 관련된 뉴스 보도할 때 '쿠데타'라는 직설적인 표현은 자제해왔다.
대표적으로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BBC 등은 '윤석열의 계엄령 선포'(declaration of martial law)라고 보도한다.
그동안 뉴욕타임스(NYT), 월스트리트저널(WSJ), 워싱턴포스트(WP), BBC, 더 가디언 등 해외 주요 언론들은 12.3 내란 관련 보도 시 '쿠데타' 라는 직설적인 표현 대신 '계엄령 선포'로 써왔다. NYT·BBC 캡처지난달 가디언과 이코노미스트 등이 '쿠데타'라는 단어를 사용했지만, '시도된'이라는 수식어를 덧붙여 다소 완곡하게 표현했다. 또 그 맥락은 윤석열의 임금 인상이나 이재명 등 간접적인 사안들에 대한 보도에서 12.3 내란을 설명할 때 사용됐다.
반면, 르몽드는 '쿠데타'(coup)라는 단어를 제목과 본문에 명시했다.
특히 영어판에서는 "윤석열 대통령의 12월 쿠데타"라고 분명히 하면서 "불과 몇 시간 만에 끝이 났지만, 충동적인 행동은 아니었다. 그의 자멸적 몰락은 동아시아에서 미국의 전략에 큰 타격을 입혔다"고 강조했다.
이어 12.3 비상계엄 선포 배경을 설명, 윤 대통령의 왜곡된 정치적 세계관에 대해 언급했다.
르몽드는 윤석열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선포 배경을 설명하면서, 윤 대통령의 왜곡된 정치적 세계관에 대해 언급했다. 르몽드 디플로마티크 캡처르몽드는 "윤 대통령에게 국회의원들은 선출된 국민의 대표라는 점이나 야당의 의회 과반이 본인의 낮은 지지율에서 비롯되었다는 점은 중요하지 않았다"며 "그의 세계관에 따르면 국회는 복종하거나 뒤집어져야 할 대상이었다"고 설명했다.
또 "더불어민주당이 유럽의 중도 정당들을 급진적으로 보이게 할만큼 온건한 성향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윤 대통령은 의심의 여지 없이 그들을 '반란군', 즉 자유민주주의 체제를 전복하려는 공산주의자들로 보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