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암고등학교 학생회 제공12·3 내란 사태를 일으킨 윤석열 대통령과 그 수하들의 모교인 서울 충암고 학생회가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트린 잘못된 행위"라는 공식 입장을 내놨다.
충암고 학생회는 10일 SNS(사회관계망서비스)로 발표한 입장문을 통해 "대통령과 충암고 졸업생들의 연관으로 인해 재학생을 향한 비난 여론이 거세졌다"며 "12·3 사태로 인한 시민의 분노는 충암고 학생회 또한 백번 공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학생회는 "사태 이후 교복을 입은 학생에게 폭언하고, 취업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협박하거나 교무실에 항의 전화를 하는 등 계속해서 피해 사례가 접수되고 있다"며 "재학생들은 대통령과 논란의 인물과는 전혀 관련이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충암고는 학교 정상화, 체육관 공사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단 한 번도 특혜를 기대하며 졸업생과 접촉한 적이 없다"며 "부디 충암고와 재학생을 향해 비난하는 일은 멈추고 학생들이 안전하게 자신들의 미래를 꿈꾸고 펼쳐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를 간곡히 부탁한다"고 강조했다.
충암고는 윤 대통령뿐만 아니라 12·3 내란 사태에 연루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 여인형 전 국군 방첩사령관 등의 모교다. 내란 사태와 관련한 주요 인물들이 충암고를 연결고리로 이어졌다는 소식이 전해지자 충암교에 대한 비난 여론이 들끓었다.
충암고 학생회는 "대통령 및 논란의 인물들은 충암고를 졸업한 지 40년이나 지났다"며 "이들은 교육의 의무로 충암고를 잠시 거쳐 간 인물들일 뿐 재학생과는 아무 관련 없다"고 호소했다.
윤석열 대통령,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의 모교인 충암고등학교의 이윤찬 교장(왼쪽)과 오세현 충암고 학부모회 회장이 9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교육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있다. 사진 연합뉴스앞서 충암고 이윤찬 교장과 오세현 학부모회장은 전날 국회 교육위원회에 출석해 계엄사태로 인한 충암고 재학생들의 피해 상황을 증언했다.
이 교장은 "충암고가 어떤 학교길래 이런 윤 대통령이나 김용현 전 장관 같은 사람이 졸업했느냐 같은 항의 전화를 이틀 동안 120통 이상 받았다"며 "학생들은 교명을 '계엄고'로 바꾸라는 조롱을 받고 있다"고 전했다. 비난이 커지자 충암고는 지난 6일 등교 복장을 자율화하고, 등굣길 순찰도 강화했다.
다음은 충암고 학생회 입장문 전문.충암고등학교 학생회 공식 입장문
|
안녕하십니까, 충암고등학교 학생회입니다. 최근 대한민국을 뒤흔든 정부의 비상계엄 사태로 많은 혼란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대통령과 충암고등학교 졸업생들의 연관으로 인해 재학생을 향한 비난 여론이 거세졌습니다. 이에 충암고등학교 학생회의 입장을 발표합니다.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는 대한민국을 혼란에 빠트린 잘못된 행위였습니다. 12·3 사태로 인한 시민의 분노는 충암고등학교 학생회 또한 백번 공감하고 있습니다. 다만 대통령 및 논란의 인물들은 충암고등학교를 졸업한 지 40년이나 지난 졸업생입니다. 이들은 교육의 의무로 충암고등학교를 잠시 거쳐 간 인물들일 뿐 재학생과는 아무 관련 없다는 사실을 말씀드립니다. 사태 이후로 교복을 입은 학생에게 폭언하고, 취업에 불이익을 주겠다고 협박하거나 교무실에 항의 전화를 하는 등 계속해서 피해 사례가 접수되고 있습니다. 재학생은 대통령 및 논란의 인물들과는 전혀 관련이 없으며 무고합니다. 충암고등학교는 학교 정상화, 체육관 공사 과정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었지만, 단 한 번도 특혜를 기대하며 졸업생과 접촉한 적은 없었습니다. 또한 학생들은 선생님들의 지지와 학교의 지원 속에서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학생 자치를 수행하고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개진하며 민주사회의 가치를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해 왔습니다. 부디 충암고등학교와 재학생을 향해 비난하는 일은 멈춰주시고 학생들이 안전하게 자신들의 미래를 꿈꾸고 펼쳐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기를 간곡히 부탁드리겠습니다. 2024.12.10. 충암고등학교 학생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