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한동훈 "尹 탄핵보다 조기 퇴진이 확실한 방안"

국회/정당

    한동훈 "尹 탄핵보다 조기 퇴진이 확실한 방안"

    한동훈 대국민 담화 후 친한계 만나 의견 청취
    '퇴진 로드맵'에 韓 "탄핵보다 예측 가능성 높아"
    이상민 사퇴 재가 '직무 배제' 맞나…"적극적 직무행사라 보기 어려워"
    총리·여당 국정 운영 '헌법적 근거' 있나…"직접적 책임은 총리에…당정 긴밀 협의"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오른쪽)와 한덕수 국무총리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국정 수습 방안에 대한 공동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오른쪽)와 한덕수 국무총리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당사에서 국정 수습 방안에 대한 공동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박종민 기자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는 8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대신 '조기 퇴진 로드맵'을 마련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국민과 대한민국을 위해 최선의 방안"이라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대국민 담화를 마친 뒤 당사에 머무르며 여러 의원을 만나 향후 정국 운영 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날 당사에는 친한계로 분류되는 박정훈·배현진·주진우·장동혁·정성국 의원과 김종혁 최고위원 및 곽규택·한지아 수석대변인 등이 참석했다.
     
    회동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난 한 대표는 "탄핵의 경우 실제로 가결될지, 가결되더라도 헌법재판소에서 어떤 결정이 나올지에 대해 불확실성 있는 상태로 상당한 기간 진행된다"며 "시기를 정하는 조기퇴진과 그 이전 단계에서의 직무배제는 국민들에게, 그리고 국제적으로도 분명히 예측 가능성을 드릴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이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사의를 수리했는데, 이는 '직무 배제'가 아니지 않냐는 취재진의 질문엔 "사퇴하는 것은 적극적인 직무 행사라 보기 어렵지 않겠나"라며 "앞으로 사퇴하는 일들이 있을 것 아닌가. 그 문제에 대해 사퇴하는 경우를 수동적으로 처리하는 일은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한덕수 국무총리와 여당이 국정운영을 맡는 것이 헌법적 근거가 없다는 질문엔 "한 총리가 국정운영에 직접적인 책임이 있는 것이고 당정의 긴밀한 협의는 당연히 그동안 있어왔다"며 "당이 조금 더 적극적이고 세심하게 총리와 협의하겠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당대표가 국정을 권한으로 행사할 수 없다"며 "박근혜 대통령 국정농단 상황에서도 우원식 당시 의원 및 민주당 의원들이 대통령이 국정에 손을 떼고 총리에 전권 맡기라는 이야길 했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이 군 통수권을 그대로 행사할 수 있는지 묻는 질문엔 "마찬가지라 생각한다. 외교까지 포함한다고 말씀드린 바 있다"고 했다.
     
    김건희 특검법 재의결 당시, 여당 의원들의 표결 불참 가능성에 대해 한 대표가 '편법'이라고 지적한 바 있는 가운데, 전날 탄핵안 표결에는 여당 의원 전원이 퇴장해 일각에선 한 대표의 '이율배반'적 모습이 드러났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를 두고 한 대표는 "(표결) 재적수엔 넣고, 표결장엔 안 들어간 것을 말한 것"이라면서 "특검법 자체에 대해선 들어가서 찍어야 하는 거였다. 그 절차를 말씀드리고자 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앞서 한 대표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국민의힘 중앙당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와 대국민 담화를 열고 윤 대통령의 질서 있는 조기 퇴진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퇴진 전이라도 대통령은 국정에 관여하지 않을 것"이라며 "당내 논의를 거쳐 구체적인 방안을 조속히 말씀드릴 것"이라고 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