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종근 특수전사령관. 연합뉴스곽종근 특수전사령관은 지난 3일 비상계엄 사태 시 공수부대의 국회의사당 진입과 관련해 "항명이 될지는 알았지만 (본회의장 안으로) 들어가지 말라고 지시했다"고 말했다.
곽 사령관은 6일 김병주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유튜브 채널 '주블리 김병주'에 나와 비상계엄 사태의 경위에 대해 이같이 밝혔다. 그는 김 의원과 같은 당 박선원 의원과 직접 인터뷰를 통해 당시 상황을 비교적 상세히 설명했다.
그는 "전임 (김용현) 장관으로부터 국회의사당 안 인원들을 밖으로 빼내라(는 지시가 있었다"며 "이건 위법 사항이고 법적 책임을 져야 하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항명이 될 줄은 알았는데 그 임무를 시키지 않았다"고 증언했다.
그는 국회 출동 명령 자체를 거부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서는 "돌이켜 보면 당시 지시를 거부하는 것이 옳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당시 판단은 군인 입장에서 수명(명령을 따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그는 당시 계엄사령관인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에게 공포탄과 테이저건(전기충격기) 사용을 요청했다고 알려진 것에 대해서는 와전된 측면이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현장 707특임단에게 공포탄이든 뭐든 사격하지 말라고 지시해놓고 있는데, (특전사) 법무실장이 와서 '그건 계엄사령관 지침을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을 해서 사령관에게 전화했다"고 말했다.
그는 "계엄사령관이 '(공포탄 등을) 쓰면 안 된다'라고 정확하게 말했고, 내가 최초 판단했던 '사용하지 말라'고 했던 지시 사항과 일치해서 그 지침을 그대로 이행했다"고 덧붙였다.
그는 "작전의 중점은 국민의 안전이었고, 절대 사람이 다치게 하는 상황이 발생해선 안 된다고 지시하고 출동했다"면서 불상사를 피하기 위해 최대한 노력한 측면을 거듭 강조했다.
곽 사령관은 또, 707특임단이 국회로 출동하는 도중에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전화를 걸어와 '어디쯤 이동 중이냐'고 물어본 적이 한 번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김 전 장관으로부터 국회 출동 지시를 받은 시점에 대해 "당일 비상계엄령이 언론에 보도되기 전, 제 기억으로는 20여분 전쯤 됐던 것 같다"고 말했다.
곽 사령관의 이날 인터뷰는 육군 공보정훈업무 규정 상의 상부 승인을 받지 않은 채 이뤄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