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화력발전소 '삼척블루파워'. 주보배 기자국내에서 마지막으로 건설된 삼척화력발전소를 운영하는 삼척블루파워가 올해 마지막 채권을 발행했다. 탈석탄을 선언한 금융회사들이 여전히 투자와 중개를 진행 중인 데다 기관 미매각 물량은 개인들이 소화하고 있어 석탄발전의 퇴출을 늦추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18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삼척블루파워(A+)는 지난 13일 3년물 1500억원 규모의 채권을 발행했다. 앞서 진행된 수요예측에서는 1393억원의 매수 주문이 들어와 107억원 규모가 미매각 됐지만 추가청약으로 110억원의 주문이 들어오면서 사실상 완판됐다.
지난 6월에도 삼척블루파워는 1500억원을 모집하는 회사채 수요예측에서 1750억원을 모았다. 2021년 6월과 2022년 4월 수요예측에선 전량 미매각되는 등 수모를 겪었던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삼척블루파워는 공모채 시장에 지속적으로 나왔지만 ESG 투자를 신경 쓸 수밖에 없는 기관들이 공개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못하면서 지금까지 대부분 미매각됐다. 그러나 회사 측이 2022년 하반기부터 6%대의 높은 금리를 미끼로 제공하면서 개인투자자들의 구미를 당겼고, 이에 리테일 판매를 노린 증권사들이 적극적으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것으로 보인다.
삼척블루파워 제공탈석탄을 주장하는 시민단체들은 이같은 흐름을 매우 비판적으로 보고 있다. 탈석탄 네트워크 '석탄을 넘어서' 등 시민단체들은 지난 12일 서울 여의도 NH투자증권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기후위기 시대에 석탄발전 회사채를 발행하는 삼척블루파워와 주관사들의 인수·재판매 행위를 규탄했다.
특히 미매각 채권이 개인들을 통해 소화되는 것에 대해 정기춘 기후솔루션 캠페이너는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제대로 알리지 않고 개인투자자들에게 위험을 전가하려는 행위"라며 "증권사는 판매수수료만 챙기고 회사채 부도나 등급 하향 같은 일이 발생하면 더 큰 위험이 벌어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삼척블루파워 1호기는 지난 5월 상업운전을 시작했고 2호기는 오는 12월 완공돼 운전 예정이지만 송전선로 부족이라는 난관에 처한 상황이다. 석탄을 넘어서 등 단체들은 "'동해안-신가평' 송전선로 건설 지연과 하남시의 동서울변전소 증설 불허로 인해 발전소는 가동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발전소 완공 시에도 가동률이 0%에 그쳐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해 보인다"고 지적했다.
지난 6월 삼척블루파워 신용등급을 A+(안정적)으로 유지한 한국기업평가도 향후 신용등급 하향변동요인에서 "동해안 송전제약 장기화와 투자비불인정 위험 현실화 등으로 사업경쟁력이 약화되거나 회사채 차환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짚었다.
삼척블루파워 회사채 발행 주관사는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신한투자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이다. 키움증권은 여전히 탈석탄에 대한 입장조차 밝히지 않은데다, 나머지 5곳은 이미 탈석탄 선언을 했음에도 여전히 석탄발전에 기여하는 영업을 하고 있어 지적받아 왔다.
이들 증권사는 탈석탄 선언 전인 2018년 삼척블루파워와 회사채 총액인수확약(LOC)을 체결했기 때문에 법률상 계약을 이행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다만 확약 만기가 올해 말까지여서 일부 회사들은 이미 계약 연장이나 신규 계약을 하지 않는 쪽으로 검토 중이다.
한 주관사 관계자는 "'을'의 입장이기 때문에 주관 계약에 대한 입장을 먼저 밝히긴 꺼려진다"면서도 "그룹 ESG 관리 차원에서 해당 계약을 지속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시민단체들은 증권사들이 재계약에 나서지 않아 회사채 발행이 어려워지면 삼척블루파워가 산업은행을 비롯한 제1금융권에서 회사채 한도대출을 추진할 가능성도 제기하고 있다. 정 캠페이너는 "석탄발전에 대한 금융지원을 공적금융기관에서 이어가선 안된다"며 "금융기관들이 손실을 감수하더라도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