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제주 해수욕장 대여료 일원화…내년부턴 기준안 만든다

제주

    제주 해수욕장 대여료 일원화…내년부턴 기준안 만든다

    제주도내 11개 해수욕장 파라솔 대여료 2만원으로 통일
    평상 대여료는 50% 인하해 3만원~5만원 받기로
    제주도, 내년부터 기준안 마련해 일원화된 요금 적용키로

    김애숙 제주도 정무부지사(왼쪽에서 두번째)는 23일 도청 기자실에서 도내 해수욕장이 파라솔과 평상 대여료를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제주도 제공김애숙 제주도 정무부지사(왼쪽에서 두번째)는 23일 도청 기자실에서 도내 해수욕장이 파라솔과 평상 대여료를 인하했다고 발표했다. 제주도 제공
    바가지 요금과 갑질 논란을 빚은 제주 해수욕장이 일제히 파라솔과 평상 대여료를 내리기로 했다. 특히 내년부터는 해수욕장협의회와 기준안을 마련해 사실상 일원화된 요금이 적용된다.

    김애숙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23일 도청 기자실에서 도내 12개 지정해수욕장 중 11곳이 파라솔 대여요금을 2만원으로 일원화했다고 발표했다.

    파라솔 대여료를 2만원만 받겠다고 약속한 해수욕장은 금능, 협재, 곽지, 이호테우, 삼양, 함덕, 김녕, 월정, 신양섭지, 표선, 화순금모래 등 11곳이다.

    중문색달 해수욕장은 조수간만의 차가 큰 백사장 여건으로 파라솔의 위치를 수시로 옮길 수밖에 없다며 3만원을 고수했다.

    평상 대여료도 50% 내린다. 함덕과 김녕, 화순금모래, 협재, 금능 등 5개 해수욕장이 평상 대여료를 50% 인하해 3만원~5만원을 받기로 했다.

    이호테우해수욕장은 1만원 내린 3만원을 평상 대여료로 받는다.

    삼양과 월정, 곽지, 표선, 신양섭지, 중문색달 등 6군데 해수욕장은 평상을 대여하지 않는다.

    제주도는 앞으로도 해수욕장을 관할하는 마을회, 청년회 등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편의용품에 대한 가격인하를 요청할 계획이다.

    또 가격을 내리는 해수욕장에는 탈의실과 샤워실, 화장실 등 주요 시설의 개·보수 비용을 지원하기로 했다.

    제주도는 특히 내년부터는 해수욕장협의회와 파라솔·평상 대여료 등에 대한 기준안을 마련해 사실상 가격을 일원화할 방침이다.

    김애숙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마을회와 청년회 등이 제주도로부터 공유수면 점·사용허가를 받고 해수욕장을 관리하고 있지만 가격조정을 강제하는 것보다는 기준안 마련을 통한 자율인하에 초점을 맞춰 지속적으로 소통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제주도내 해수욕장에서 바가지 요금과 평상 갑질 논란으로 곤욕을 치렀다.

    여름철 1000만 명 이상이 찾는 부산 해운대 해수욕장의 파라솔 대여료는 하루종일 빌려도 8500원에 불과한데 제주는 2만원~4만3천원을 받아 상대적으로 비싼데다 가격도 천차만별이었다.

    또 최근 제주도내 한 해수욕장은 평상에서 배달음식을 먹으려던 관광객을 제지해 해수욕장 갑질 논란을 자초했다.

    김 부지사는 앞으로 관광객들의 민원을 원스톱으로 해결하는 제주관광 불편신고센터를 통해 문제 발생시 신속한 처리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