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수천억원 토지가치 상승…옛 방직터 공공기여 협상 어디까지 왔나?



광주

    수천억원 토지가치 상승…옛 방직터 공공기여 협상 어디까지 왔나?

    광주시-사업자, 공공기여 비율과 세부 내역 확정 위해 논의 이어가
    최근에는 책임자들 서로 만나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자리도 가져
    오는 10월 11차 협상조정협의회 개최 공공기여비율 최종 확정 계획
    공동위원회 자문 거친뒤 올해 안 지구단위계획 수립 절차 들어갈 방침

    옛 전남방직·일신방직 부지 개발사업 국제설계공모 당선작 덴마크 어반 에이전시의 '모두를 위한 도시' 조감도. 광주광역시 제공옛 전남방직·일신방직 부지 개발사업 국제설계공모 당선작 덴마크 어반 에이전시의 '모두를 위한 도시' 조감도. 광주광역시 제공
    옛 전남·일신방직 부지 개발 사업자가 공공기여 협상의 기준이 될 감정평가액을 수용하기로 하고 광주시와 협상을 이어가면서 공공기여 비율에 대한 협상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24일 광주광역시에 따르면 전남방직과 일신방직 부지에 복합쇼핑몰과 아파트 건설 등 대규모 개발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현재 공업지역인 땅이 상업 또는 주거지역으로 바뀔 예정이어서 수천억 원 규모의 땅값 상승이 예상되고 있다.

    광주시는 특혜논란을 불식시키기 위한 최대한의 공공기여분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자와 '사전 협상'을 진행했지만 사업자 측이 감정평가액의 산정 근거가 적절하지 않다며 이의를 신청해 한동안 협상이 중단됐다.

    지지부진했던 공공기여 협상이 개발 사업자의 감정평가액 수용으로 전환점을 맞았다.

    광주시와 사업자 측은 공공기여 비율과 세부 내역 확정을 위해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최근에는 책임자들이 서로 만나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는 자리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의 공공기여량은 용도변경에 따른 토지 상승분의 40%에서 60% 사이에서 정하도록 돼 있어 광주시는 최대치를 사업자는 최소치를 주장하고 있다.

    광주시는 다음달 11차 협상조정협의회를 개최해 공공기여 비율과 인정범위를 최종 확정할 방침이다.

    광주시는 사전협상의 마지막 절차인 공동위원회 자문을 오는 11월까지 완료한 뒤 늦어도 올해 안에 지구단위계획 수립 절차에 들어갈 방침이다.

    광주시 관계자는 "현재까지 10차례에 걸쳐 협상조정협의회를 개최했고, 다음달 11차 협상조정협의회에서 협상을 완료할 예정으로 준비 중에 있다"면서 "공동위원회의 자문까지 늦어도 11월까지 완료를 할 계획으로 사업자 측과 협의를 이어가고 있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