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노컷 리뷰]'오펜하이머'의 탄식이 현재에 남긴 딜레마



영화

    [노컷 리뷰]'오펜하이머'의 탄식이 현재에 남긴 딜레마

    핵심요약

    영화 '오펜하이머'(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 스포일러 주의
     
    신들의 불을 훔쳐 인간에게 전해준 프로메테우스는 그 대가로 코카서스 바위산에 묶인 채 매일 독수리에게 간을 쪼이는 고통에 놓이게 된다. '현대판 프로메테우스'로 불리는 줄리어스 로버트 오펜하이머는 전쟁을 종식하기 위해 원자폭탄을 만든 후 세상에 새로운 공포의 씨앗을 심고, 자신의 내면을 코카서스 산에 묶어둔다. 이러한 '오펜하이머'의 전기(傳記)를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분열과 융합으로 그려냈다.
     
    1943년, 오펜하이머와 그가 이끄는 과학자들은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위험을 가진 원자폭탄 개발에 나선다. 1945년 7월 16일 최초의 원자폭탄 실험이 실시됐고, 높이 15㎞ 폭 1.5㎞에 이르는 버섯 모양의 불꽃이 피어났다. 비밀리에 진행된 핵 개발 프로젝트인 암호명 '맨해튼 프로젝트'의 성공이다. 그해 8월 6일, 일본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지며 6만여 명이 즉사하고 충격파로 인해 반경 2㎞ 이내의 모든 것이 사라졌다. 사흘 뒤인 8월 9일 나가사키에 떨어진 두 번째 원자폭탄은 3만 6천 명의 목숨을 앗아갔다.(책 '미국사 다이제스트 100' 참고)
     
    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은 현대사에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인물이자 '맨해튼 프로젝트'를 주도한 천재 물리학자 J. 로버트 오펜하이머의 여정과 그의 딜레마를 조명했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무기를 만든 오펜하이머의 내면을 보다 깊숙하게 들여다보기 위해 놀란 감독은 1인칭으로 이야기를 풀어냈다.
     
    놀란 감독의 영화가 그러하듯 '오펜하이머'는 엔딩에 이르기까지 현재와 과거를 어지러이 오가며 나아간다. 원자폭탄의 원리인 '핵분열'과 '핵융합'의 과정처럼 영화 역시 분열과 융합의 과정을 거친다. 컬러로 구현된 오펜하이머의 이야기, 흑백으로 구현된 루이스 스트로스(로버트 다우니 주니어)의 이야기, 이 두 갈래로 분열된 이야기가 교차되며 결국은 마지막에 폭발을 일으킨다.
     
    영화 초반 오펜하이머는 전쟁을 낳은 현대문명의 불모성을 읊은 T.S.엘리엇의 '황무지'를 읽고 '불협화음'과 원시적 리듬으로 유명한 스트라빈스키의 '봄의 제전'을 듣고, 우울과 낙담을 담고 있는 피카소의 '팔짱을 끼고 앉아있는 여인'(1937)을 바라본다. 그 당시 물리학자로서 겪고 있는 불안의 상징들은 맨해튼 프로젝트의 성공 이후 보여주는 내면과도 닮았다.
     
    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오펜하이머는 세상을 구하기 위해 핵 개발에 나선다. 그러나 아무리 그가 선한 의도로 만들었다 해도 결국 원자폭탄으로 인해 희생되는 건 누군가가 규정한 '악인'만이 아니다. 대다수의 선량한 일반인이 폭탄의 희생양이 된다. 그의 바람처럼 원자폭탄이 불필요한 전쟁만을 종식하고 세상에 평화를 가져올 확률도, 원자폭탄을 향한 인류의 욕망이 제로가 될 확률도 '제로'다.
     
    딜레마를 안은 오펜하이머는 결국 프로젝트를 완수한다. 전쟁은 종식됐지만, '핵전쟁'에 대한 공포라는 또 다른 전쟁의 위협과 불안이 전 세계를 감싸게 됐다. 그렇게 오펜하이머는 새로운 질문에 빠지게 된다. 과연 과학은 인간에게 유익하기만 한 것인지 말이다.
     
    과학적인 차원에서 원자폭탄 실험에 성공해 환호하는 과학자들의 모습은 세상을 파괴할 무기의 탄생이란 현실과 그 결과물을 아는 관객에게는 더욱 기괴하게 다가온다. 오펜하이머는 환호하는 동료들 사이에서 자신이 만든 결과물이 가져온 성공을 순수하게 기뻐하지 못한다.
     
    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감독은 그의 내면에서 조용히 요동치는 분열과 충돌을 원자폭탄 폭발의 순간과 동일한 연출로 보여준다. 폭발의 섬광과 희생자들의 처참한 모습이 그의 눈앞에 아른거린다. 영화 초반, 물리학 이론이 단순한 수식의 나열이 아닌 분자, 원자, 소립자 세계의 찬란함으로 보였던 그의 눈엔 이제 물리학이 만들어 낸 황무지만 남은 것이다.
     
    오펜하이머는 뛰어난 이론 물리학자이자 과학자였다. 세상을 쥐락펴락할 수 있는 무기를 향한 인간의 탐욕과 선택은 이론만으로 그 결괏값을 예측할 수 없다. 그렇기에 전쟁에 마침표를 찍을 원자폭탄 실험 폭발이 성공해 버섯구름이 피어오른 순간, 오펜하이머가 씁쓸하게 읊조리는,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됐다"는 '바가바드기타'의 구절은 결국 영화의 엔딩을 넘어 현재까지도 남게 됐다. 오펜하이머의 딜레마가 현재의 딜레마가 된 것이다.
     
    이처럼 영화의 전체적인 스토리와 연출은 결국 분열과 융합을 거듭하며 폭발에 이르는 원자폭탄의 작동 원리를 취한다. 이 모든 과정을 감독은 이른바 '제로CG'라는 놀라운 도전으로 완성해 냈다.
     
    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외화 '오펜하이머' 스틸컷.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테넷'에서 보잉747기를 실제 충돌시켰던 놀란 감독은 이번엔 특수효과 감독 스콧 피셔와 VFX(시각효과) 슈퍼바이저 앤드류 잭슨과 함께 맨해튼 프로젝트팀이 시도한 세계 최초의 핵실험인 '트리니티 실험'을 CG 없이 재현했다. 이를 위해 제작진은 휘발유, 프로페인, 알루미늄 분말, 흑색화약, 마그네슘 조명제 등을 섞는 제조법을 만들어 냈다.
     
    여기에 놀란 감독은 65㎜ 흑백 아이맥스(IMAX) 필름을 직접 제작한 것은 물론 IMAX 15/70㎜ 카메라를 활용해 시점에 따라 컬러와 흑백을 번갈아 활용했다. 이 연출은 과거는 물론 현재 시점 역시 우리가 발 디디고 서 있는 '현실'에 놓이게 만들며 관객들의 몰입을 높였다. 이 모든 것이 합쳐져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만이 전할 수 있는 '영화적 체험'을 담은 '오펜하이머'로 완성됐다. 영화로 관객에게 가장 깊숙하면서도 가까이 닿고자 하는 열망이 만든 결과물이다.
     
    '오펜하이머'를 보다 현실감 있게 만든 또 다른 주역은 바로 배우들이다. 놀란 감독의 페르소나 킬리언 머피를 비롯해 에밀리 블런트, 맷 데이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플로렌스 퓨, 조쉬 하트넷, 케이시 애플렉, 라미 말렉, 케네스 브래너, 데인 드한 등 오스카를 방불케 하는 내로라하는 배우들이 함께해 완벽하게 캐릭터에 녹아드는 열연을 펼쳤다.
     
    180분 상영, 8월 15일 개봉, 15세 관람가.

    외화 '오펜하이머' 메인 포스터.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외화 '오펜하이머' 메인 포스터. 유니버설 픽쳐스 제공​​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