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창원시 정어리 집단폐사 적극대응…"산채로 포획해 상품화"



경남

    창원시 정어리 집단폐사 적극대응…"산채로 포획해 상품화"

    창원시 "살아 있는 정어리 최대한 포획…폐사 때엔 소각·퇴비화"
    모니터링 강화·어업규제 완화 사업 시행…소각시 폐사체 공공 우선 반입·처리 원칙 세워

    지난해 정어리 집단폐사 당시 현장 점검에 나선 홍남표 창원시장. 창원시 제공지난해 정어리 집단폐사 당시 현장 점검에 나선 홍남표 창원시장. 창원시 제공
    올해도 남해안 연안에 다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현할 것이라고 전망이 나오면서 지난해 마산만 정어리 집단폐사로 골머리를 앓았던 창원시가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특히, 정어리가 갑자기 늘어났을 경우, 선제적으로 포획해서 상품화해 처리하는 방안도 추진하기로 했다.

    창원시는 19일 "최근 해양수산부 국립수산과학원은 올해도 지난해처럼 남해안 연안에 대량의 정어리 무리가 출현하고 시기도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을 내놨다"며 "상황 발생 시 즉시 대처할 수 있는 대응 방안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우선적으로 시는 정어리가 살아있을 때 적극적인 포획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이를 위해, 관내 정치망어업 6곳에 유입되는 정어리를 최대한 포획하도록 협조 요청했으며, 현재도 포획이 진행 중이다.

    또, 멸치 기선권현망(2척의 동력어선으로 끌그물을 사용해 멸치를 잡는 어업) 조업 과정에서 정어리 등 다른 어종도 혼획할 수 있도록 하는 어업규제 완화 시범사업이 올해 정어리떼 집단폐사 예방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고 있다.

    해양수산부가 오는 7월 1일부터 1년간 시행하기로 결정한 해당 시범사업은 기선권현망이 그물을 끄는 어업 특성상 혼획 가능성이 크다는 어업 당사자들과 연구자들의 의견 등을 고려해 도입이 결정됐다.

    이번 시범사업으로 멸치권현망어업은 조업 과정에서 정어리 등 다른 어종도 혼획할 수 있다. 시는 살아 있는 정어리를 포획해 상품화(건제품) 하는 등 어업인 소득 창출·해양환경 오염 예방에 힘쓴다 계획이다.

    지난해 정어리 집단폐사 당시 수거에 나선 봉사단체와 주민들. 창원시 제공지난해 정어리 집단폐사 당시 수거에 나선 봉사단체와 주민들. 창원시 제공
    또, 어업인 모니터링 강화, 유관기관 비상연락 체계 구축, 어업지도선을 이용한 연안해역 예찰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양환경 정화선 수질검사 시스템도 구축할 예정이다.

    정어리의 집단폐사가 발생할 경우도 대비한다. 우선 해상수거분은 폐사체를 음식물자원화시설을 거쳐 사료화하고, 이물질이 함유된 수거분은 자원회수시설에 반입해 소각 처리한다. 비상시를 대비해 민간 폐기물 처리시설도 확보해 뒀다.

    '성산 소각장 정기보수 가동 중단에 따른 소각난' 우려에 대해선 '공공시설에서 우선 반입·처리하고 보조적으로 민간시설을 이용한다'는 원칙을 세워 대응하기로 했다.

    지난 18일 시와 경남도 수산관계자는 정어리 조기 출현, 증가 예상, 폐사에 대해 사전 대응 방안 모색을 위한 회의를 개최하고 유관기관 등과 지속적으로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국립수산과학원도 진해만에 빈산소수괴 관측시스템을 5월 중으로 7곳에서 마산항과 마산합포구 구산면을 추가해 9곳으로 늘려 확대 조사할 계획이다.
     
    앞서, 정어리 집단폐사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을 주문했던 홍남표 창원시장은 "작년 정어리 집단폐사로 시민과 관광객이 악취로 많은 불편을 겪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며 "하지만 올해는 사전에 대응책을 마련 시행하겠으며, 정어리 집단 폐사가 있을 경우 신속한 수거 및 처리로 불편을 최소화 하겠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9월 30일 창원 마산합포구 구산면 해양드라마세트장 인근 해변에서 처음 발견된 정어리 사체는 10월 23일까지 한 달간 마산·진동만 해역 일대에서 총 226t이 수거됐다.

    당시 인근 주민들은 폐사체가 썩는 과정에서 진동하는 악취 등으로 큰 불편을 겪었고, 창원시는 정어리 사체를 처리하는 데 곤욕을 치렀다. 사체를 유기질 비료로 재활용하기 위해 업체에 보냈지만 자갈 등 이물질이 섞여 있다는 이유로 업체 측이 난색을 보여 20t만 처리됐다. 민간 소각장 활용도 고려됐지만 비용 문제로 20t만 소각됐다. 공공 자원회수시설 처리 비용은 1t당 10만 원대지만 민간 소각장은 27만 원에 달한다. 결국 창원시는 성산·마산자원회수시설에서 폐사체 대부분인 186t가량을 소각해야 했다.

    올해 9월 초부터 14개월간 성산자원회수시설의 소각로 2호기 가동이 중단되면서 처리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하루 200t을 처리하는 2호기는 노후화로 가동률이 65%까지 떨어져 시설 교체 사업을 미룰 수 없는 상황이다. 성산 2호기는 창원 성산·마산·진해 시설 3곳의 소각량(650t)의 30%를 차지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