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지난해 가구 평균소득 6400만원…40·50대 4명 중 1명 '1억원↑'



경제정책

    지난해 가구 평균소득 6400만원…40·50대 4명 중 1명 '1억원↑'

    부동산 가격 급등에 3월말 기준 가구당 평균자산 9% 증가

    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모습. 황진환 기자서울 마포구 하늘공원에서 바라본 서울시내 아파트 모습. 황진환 기자
    올해 초까지 급등한 부동산 가격의 영향 등으로 국내 가구 평균 자산이 2년 연속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 시장 침체가 나타나기 전 활황세를 보였던 서울과 세종 가구의 평균 자산이 전국 1·2위를 차지했다.

    지난해 가구당 평균 소득은 근로소득을 중심으로 4.7% 증가한 6414만 원이었다. 가구주가 40대, 50대인 가구 네 곳 중 한 곳은 소득이 1억 원 이상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과 통계청, 금융감독원은 1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 가구당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9% 늘어난 5억 4772만 원으로 나타났다. 자산 증가율은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전년도(12.8%)에 이은 두 번째를 기록했다. 자산에서 부채를 뺀 순자산은 4억 5602만 원으로 전년 대비 10% 증가했다.

    자산 증가율이 부채 증가율(4.2%)의 두 배를 웃돌면서 순자산 증가율이 자산 증가율보다 높았다. 가구의 자산 보유액 증가는 주로 집값 상승에 기인했다. 전체 자산이 9% 증가했는데 그 가운데 금융자산(1억 2126만 원)은 7.1%, 실물자산(4억 2646만 원)은 9.5% 각각 늘었다.

    부동산과 전세가격 상승 등으로 실물자산 증가율은 역대 두 번째였고, 금융자산 증가율은 세 번째였다. 다만 이는 올해 부동산 시장 침체 영향이 본격화하기 전인 3월 말 기준으로 조사가 이뤄진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전체 자산 중 금융자산이 22.1%, 실물자산이 77.9%를 차지해 실물자산 구성비가 전년 대비 0.4%포인트 증가했다.

    평균 자산은 50대 가구가 6억 4236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40대(5억 9241만 원), 60세 이상(5억 4372만 원), 30대(4억 1246만 원), 29세 이하(1억 3498만 원) 등의 순이었다.

    가구주 연령대가 높을수록 전체 자산 중 실물자산이 차지하는 비율이 증가했다. 가구주 종사상지위별로 살펴보면 자영업자 가구 자산이 6억 6256만 원으로 가장 많았고 상용근로자(6억 1848만 원), 기타(무직 등)(4억 5167만 원), 임시·일용근로자(2억 4142만 원) 순이었다.

    지난 3월 말 기준 자산 규모를 지역별로 살펴보면 서울이 8억 1710만 원으로 가장 많았다. 실물자산 중에서 부동산이 6억 2544만 원을 차지했다. 세종 역시 서울과 더불어 부동산 자산(6억 1747만 원)이 6억 원선을 넘으면서 전체 자산(7억 9274만 원)이 2위를 차지했다. 전남(3억 3152만 원)이 전국에서 자산 규모가 가작 작은 것으로 집계됐다.

    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클릭하거나 확대하면 원본 이미지를 보실 수 있습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