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 강릉시청 전경. 강릉시 제공
강원 강릉시가 '2035년 강릉 도시기본계획'을 승인받으면서 글로벌 관광도시 조성에 본격 나설 전망이다.
강릉시는 주간 활동 인구를 포함한 인구 29만 1500명의 '세계로 도약하는 글로벌 관광도시 강릉'를 비전으로 하는 2035년 강릉 도시기본계획을 지난 25일 강원도 도시계획위원회로부터 최종 조건부 승인을 받았다고 29일 밝혔다.
앞서 2035년 강릉 도시기본계획은 지난 2018년 5월부터 추진해왔다. 그동안 주민참여단과 길잡이지원단 회의, 시민공청회, 강릉시의회 의견 청취, 관계기관 협의, 강원도 도시계획위원회 심의 등의 절차를 거쳐왔다.
이번에 승인받은 계획은 강릉의 미래상과 도시의 장기적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자체에서 수립해야 하는 법정 최상위 계획이다. 토지의 이용·개발, 보전과 관련된 모든 공간계획과 정책 수립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도시발전 로드맵이다.
계획안에 따르면 15년 후 도시 발전에 따른 토지 수요를 추정해 개발이 가능한 19.776㎢를 시가화 예정용지로 잡았다. 기존 개발지 31.243㎢는 시가화 용지로, 나머지 995.862㎢(미지정 면적 포함)를 보전용지로 각각 토지이용계획을 확정했다.
주요 내용은 대부분의 도시가 겪고 있는 인구감소에 따른 도시정책과 제도 변화, 국토종합계획 등의 상위계획이다. 또한 대내외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등을 고려한 장기적인 도시공간 구조 설정, 생활권 설정 및 인구배분 계획, 스마트 도시 조성, ITS 세계총회를 대비한 광역교통·도시교통계획 등도 포함했다.
강릉시 제공
특히 KTX강릉선 개통, 동해북부선(강릉~제진간), 남강릉IC 내륙 ITS 허브 산업·물류 거점도시, 옥계항(국가어항) 연안 수송의 활성화 등 변화된 도시 여건과 남부지역 균형 발전 도모 등을 고려했다.
이와 함께 도시공간구조를 1도심(강릉도시권) 3지역 중심(주문진, 옥계, 구정), 2지구 중심(성산, 경포)으로 압축하고, 인접 시·군의 특성을 고려해 상생 발전할 수 있는 주요 발전축을 설정했다.
생활권 계획은 2020년 강릉 도시기본계획(변경)의 생활권계획 체계의 기조를 유지해 강릉시 전체를 1개의 대생활권으로 설정하고 4개의 중생활권(중심, 서부, 남부, 북부)으로 구분했다.
북부생활권의 해양리조트단지 조성을 통해 인접지역인 양양·속초 상생협력권, 남부생활권인 옥계항의 시설 정비 및 기능을 확대할 예정이다. 남강릉IC 내륙 ITS 허브 산업·물류 거점도시와 연계한 복합산업벨트 구축 방안도 담았다.
교통계획은 53년간 단절된 동해북부선 남측 구간인 강릉~제진역을 연결하는 철도사업과 고질적인 문제인 도심 내 혼잡한 통과교통의 문제점을 해소할 방침이다. 기존 계획도로망을 기반으로 지역 간 효과적인 교통량을 분산하는 국도 7호선 우회도로, 강동면~주문진간 순환도로, 남항진~강동면을 잇는 관광 해안도로 계획을 반영했다.
이번 계획안은 도시계획위원회의 조건부 승인에 따라 재열람·공고 등 행정절차를 거쳐 오는 8월쯤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시 관계자는 "도시기본계획 승인으로 공간계획과 더불어 교통, 개발 방향 등 정책 수립의 기본방향이 확정돼 도시발전의 기틀을 마련하게 됐다"며 "지역 균형 발전은 물론 고품격 문화·관광도시, 시민의 희망이 담긴 '새로운 도약과 희망의 강릉'을 완성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