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강창일 "한일관계 해결 의지 확고…바이든, 일본에 안 기울 것"



국방/외교

    강창일 "한일관계 해결 의지 확고…바이든, 일본에 안 기울 것"

    주일한국대사 부임 전 기자단 간담회
    "강제징용 배상 판결, 1965년 청구권 협정 부정 아냐"
    "위안부 배상 판결 日 반발? 합의 이후 정부 문제제기 안 해"
    "바이든, 위안부 문제 잘 알고 있어 기울지 않을 것"

    강창일 신임 주일대사가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역사디자인연구소에서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창일 신임 주일한국대사는 17일 "한일관계를 해결하고자 하는 우리 정부의 의지는 확고하다"며 "제가 파악한 것만 12가지의 해결책이 제시됐기에 양국 정부의 의지와 지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강 대사는 이날 오후 외교부 출입기자단과의 화상 기자간담회에서 "한일 양국은 강제동원의 대법원 판결을 둘러싸고 적잖은 갈등을 보여왔으며 역사 문제가 경제 문제와 뒤엉키게 되면 한일 모두에게 도움이 안된다는 교훈을 얻었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그는 먼저 "역지사지의 차원에서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냐는 일본의 입장을 모르는 바는 아니다"면서도 "강제징용 배상 판결은 개인이 일본 민간 기업에 대해 민사재판으로 제소한 사건이고, 한일 (청구권) 협정은 양쪽 모두가 유효하다고 생각하고 존중하고 있는 상황이다"고 했다.

    지난 2019년 강제징용 배상판결과 얼마 전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판결 이후, 정부 간 청구권 문제를 해결한 한일 청구권 협정을 두고 일본이 계속 이의제기를 하는 것에 대한 입장이다.

    강 대사는 "한일 협정이 깨지면 한일관계도 완전히 깨지는 것이며, 양국 정부의 의지와 지혜가 필요하다"며 "대한민국 정부는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로 명분과 원칙을 지켜주면서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많이 있다고 생각하고, 많은 안이 전문가들로부터 제시됐다"며 "제가 파악한 것만 12가지 정도이기 때문에 양국 정부의 의지와 지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강창일 신임 주일대사가 17일 오후 서울 서초구 양재동 역사디자인연구소에서 열린 온라인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연합뉴스

     

    그는 문재인 대통령을 만난 자리에서 "(우리 정부가) 강력한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고, 대통령께서 제게 한일 관계 정상화와 양국 협력 체제 강화를 위해 애써달라고 당부했다"며 "일본 도쿄 올림픽의 성공적인 개최를 위해 필요하다면 어떤 역할도 마다하지 않고, 스가 요시히데 총리를 만나 진솔하게 이야기하고 싶다는 말도 하셨다"고도 전했다.

    강 대사는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에 대한 배상판결 당시 한국 외교부가 "법원의 판단을 존중한다"면서도 "2015년 12월 한일 정부간 위안부 합의가 양국 정부의 공식 합의라는 점을 상기한다"고 밝힌 부분에 대해서도 한국이 위안부 합의를 파기하지 않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2015년 12월 이후 한국 정부는 위안부 문제에 대해 문제제기한 적이 없다"며 "일본에서 들어온 100억원 가운데 몇십억원은 현재 은행에 보관돼 있다. 한국 정부는 이를 파기한 적이 없고 문제제기도 하지 않았다"고 부연했다.

    한편, 강 대사는 오는 20일 새로 출범할 바이든 행정부가 한미일 공조 체제 강화 요구를 할 것이라는 관측에 대해서도 희망적인 예측을 내놨다.

    그는 "과거 트럼프 행정부에서는 일본 편을 많이 들었고,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의 경우 미국의 강한 의도에 따라 이뤄졌다"며 "바이든 당선인은 위안부 문제에 대해 잘 알고 있어 일본에 기울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3각 공조 하에 미국의 동아시아 전략이 있고, 미국은 가운데 서서 한일 간 화해에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