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2025년 인천공항-여의도 '20분대'로 좁히는 드론택시 상용시대 열린다



경제정책

    2025년 인천공항-여의도 '20분대'로 좁히는 드론택시 상용시대 열린다

    "세계 최초 종합적, 구체적 UAM 로드맵"…공항-도심 운영 먼저 시작
    요금 초기 11만 원대에서 점차 낮아져 일반 택시 수준 될 듯

    오스트리아에서 시도된 세계 최초의 드론 택시.(사진=연합뉴스)

     

    친환경·저소음 3차원 교통수단인 도심항공교통(UAM, Urban Air Mobility)이 2025년 우리나라에서 최초 상용화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중장기 계획을 마련했다.

    국토교통부는 4일 제2차 혁신성장전략회의에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로드맵을 통해 2024년까지 비행실증을 마치고 2025년 상용서비스를 최초로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2030년부터는 본격적인 상용화를 시작해 2035년 자율비행까지 이뤄내면서 국내 도심항공교통 시장 규모가 13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2040년을 준비하는 것이다.

    도시 권역의 여객과 화물을 수송할 UAM은 승용차로 1시간여가 소요되는 도시 권역 30~50㎞에 달하는 거리를 20분여로 단축할 전망이다.

    공항과 도심을 잇는 구간에서 우선 운행이 시작되는데, 김포공항에서 서울 잠실 사이가 12분대로, 인천공항과 여의도 사이가 20분대로 좁혀지는 구상이다.

    국토부 김상도 항공정책실장은 "UAM 로드맵은 2025년 상용화 개시를 목표로 여러 인증이나 안전성 확보 방안을 담고 있는데, 세계 최초의 종합적, 구체적 청사진"이라며 "이를 충실히 이행하면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가 가장 빨리 UAM을 상용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자료=연합뉴스)

     

    UAM은 기존 헬기와 유사한 고도와 경로로 비행하지만, 전기동력을 활용해 탄소 배출이 없고 소음도 기존 헬기 대비 20% 수준이다. 날개와 로터를 혼합한 형태로 첨단 설비가 구축돼 기상 등에 대비한 안전성 또한 높을 것으로 예측된다.

    이를 위해 당국은 UAM 운항에 필요한 항법과 안전성 인증, 교통관리 체계, 보안 등의 제도적 기반을 다진다.

    우선 2022년부터 2024년 사이 민관합동 대규모 실증사업인 K-UAM 그랜드챌린지를 시작한다. 이 기간 안전성이 입증된 기체의 운항환경 실증을 위해 도심지를 포함한 실증노선도도 운용된다.

    실증노선안에 포함될 예정인 인천공항과 김포공항, 청량리역, 코엑스 등을 잇는 경로도 예정돼 있다.

    이들 지역에는 UAM용 터미널인 버티포트(Vertiport)가 세워질 가능성이 높다.

    버티포트의 구조와 충전, 비상착륙설비 등에 대한 안전기준도 주요 과제 중 하나인데, 민간자본을 통한 개발이 기본이다. 다만 당국은 이를 구축할 때 기체 과세표준을 마련하는 한편 교통유발부담금을 일부 감면하는 등 경제적 혜택을 시장의 성숙도에 맞추겠다는 입장이다.

    그랜드챌린지에서 만들어지는 '한국형 운항기준'에는 고도와 운항 대수, 회귀 간격, 환승 방식 등이 복합적으로 담길 예정이다.

    현재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고 있는 신개념 비행체(eVTOL, electric Vertical Take Off & Landing) 인증체계는 미국과 유럽에서 벤치마킹해 세부적인 인증기준과 절차를 마련한다.

    또, 현재 R&D가 진행되고 있는 한국형 드론교통관리체계인 'K드론시스템'을 활용해 UAM의 교통관리 체계도 구현해나간다.

    화물용으로 시작하는 UAM는 점차 여객형으로도 개발된다. 5~10kg 규모의 소형 화물을 실어 나르는 150kg 이하 기체 위주로 띄우고 2025년엔 2명 이상을 태울 수 있는 모델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용 요금은 상용화 초기 인천공항~여의도 간을 기준으로 11만 원으로 예정돼 있다. 무인화가 완료된 2035년쯤에는 일반 택시와 비슷한 수준인 2만 원대가 될 것으로 당국은 예측하고 있다.

    결과적으로는 당국의 대도시권 광역교통에도 포함되게 하는 것이 목표다. UAM을 기존의 버스, 택시, 철도, PM(Personal Mobility)과 혼합된 형태의 교통서비스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이다.

    국토부에 따르면, 2040년 국내 도심항공교통의 시장 규모는 13조 원에 이르고 16만 명의 일자리 창출, 23조 원의 생산 유발, 11조 원의 부가가치 유발 등 파급효과를 낳을 전망이다.

    김 실장은 "미국 우버는 자체적으로 우리보다 2년 정도 더 빠른 상용화 계획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지만, 현실적으로 민간기업이 할 수 없는 몫들이 있다"며 "정부가 법적,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줘야 실제 운행이 가능하다는 측면에서 로드맵에 기초한 상용화 계획은 굉장히 빠른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정부는 로드맵 세부 과제를 발굴하기 위해 산·학·연·관 협의체인 'UAM 팀 코리아(UAM Team Korea)'를 이번 달 발족할 예정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