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폭염 피해' 앞으로 10년간 더 심해진다



경제 일반

    '폭염 피해' 앞으로 10년간 더 심해진다

    환경부 "폭염 위험 '매우 높음' 19곳→48곳, '높음' 50곳→78곳으로 급증"
    온실가스 저감정책 성과 못 거두면 피해 더 심각해져

    폭염 위험지도

     

    향후 10년 동안 우리나라에 불볕더위로 인한 피해가 과거 10년보다 더 커질 것이라는 정부 연구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는 2021~2030년 '폭염 위험도'를 5단계로 평가한 결과 '폭염 위험도'가 기준년도(2001~2010년) 대비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고 1일 밝혔다.

    '폭염'은 보통 일 최고기온이 33℃이상인 때를 말하고, 폭염이 이틀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될 때 폭염주의보가 발령된다.

    1990년대와 2000년대 우리나라에서는 폭염에 이르는 날은 1년에 열흘 남짓한 수준이었지만, 지난해는 무려 31.5일이나 폭염 수준의 무더위가 계속됐다.

    또 지구온난화로 인해 앞으로 폭염의 빈도·강도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환경부는 전국 229곳 기초지자체를 대상으로 기상청의 기후전망 시나리오(RCP 4.5)를 적용·평가했다.

    그 결과 향후 10년 동안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에 이를 지역은 현재 19곳(8.3%)에서 48곳(21.0%)으로, '높음' 지역은 50곳(21.8%)에서 78곳(34.1%)으로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낮음' 지역은 64곳(27,9%)에서 32곳(14.0%), '매우 낮음' 지역은 16곳(7.0%)에서 6곳(2.6%)으로 감소할 것으로 분석됐다.

    폭염위험도 평가결과

     

    이 때 '폭염 위험도'는 단순한 기후변화와 이로 인한 물리적인 변화(위해성) 외에도 사람, 사물이 기후변화 피해에 노출되는 '노출성'과 기후변화 피해에 대한 민감도나 대응능력 등을 뜻하는 '취약성' 간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영향을 뜻한다.

    즉 비단 지구 평균기온 상승에 따라 일최고기온 등 위해성이 증가할 뿐 아니라 급속한 고령화로 노령 인구 및 독거노인 비율이 늘어나면서 '노출성'이 증가하고, 도시화면적 비율이 증가하면서 '취약성'도 함께 증가하기 때문에 '폭염 위험도'가 크게 늘어났다.

    게다가 이번 연구 결과는 온실가스 저감정책이 효과를 발휘해 온실가스로 인해 2100년까지 추가적으로 지구에 흡수되는 에너지양이 4.5W/㎡ 수준에 머물렀을 경우를 상정한 RCP 4.5 시나리오의 결과로, 저감정책 성과에 따라서는 더 악화될 수도 있다.

    실제로 온실가스 배출량이 현재 추세를 그대로 유지해 에너지양이 8.5W/㎡에 달할 것으로 추정할 경우(RCP8.5), 향후 10년 동안 '폭염 위험도'가 '매우 높음'에 이를 지역은 72곳(31.4%)으로 치솟을 것으로 보인다.

    또 '높음 ' 지역도 73곳(31.9%)으로 늘어나지만, '낮음' 지역은 19곳(8.3%)으로 급감하고, '매우 낮음' 지역은 겨우 1곳(0.4%)만 남을 것으로 추정된다.

     

    환경부는 폭염 피해를 줄이기 위해 지난달 10일 '폭염대응지원단'을 발족, 지자체 및 민감계층을 대상으로 지원에 나섰다.

    독거노인, 차상위계층 등 폭염에 취약한 전국 900가구와 경로당, 노인복지관 등 어르신 이용시설 전국 1000곳을 방문해 양산, 부채 등 폭염 대응용품을 전달하고, 행동요령을 안내하는 등 ’찾아가는 현장 서비스'도 확대했다.

    환경부는 폭염이 찾아올 경우 △더운 시간대 휴식하기 △시원한 옷을 입고 양산 쓰기 △물을 자주 마시기 △식중독 예방하기 △주변 사람 건강 살피기 등의 행동요령을 지켜달라고 당부했다.

    환경부 배연진 신기후체제대응팀장은 "지자체별 다양한 여건을 고려한 현장 중심의 지원으로 폭염 피해를 최소화해 나가고, 폭염 등 기후변화에 대해 국민들의 인식도 높일 수 있도록 전방위적인 홍보도 병행하겠다"고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