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충북 진보성향 교육단체(교육포럼) '충북교육의 미래'가 윤건영 충청북도교육감의 교육 방향에 대해 강도높게 비판하고 나섰다.
'충북교육의 미래'에는 내년 충북교육감 선거 출마가 유력한 김성근 전 충북교육청 부교육감(상임대표)을 비롯해 박창호 전 교육국장, 이동갑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정책전문대학원 겸임교수, 한상훈 전 서전고 교장 등이 참여하고 있다.
김 전 부교육감은 8일 충북교육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학교 현장은 전례 없는 긴장과 위기를 겪고 있다"며 "특히 학교공동체의 신뢰가 약화돼 전인교육의 기반이 흔들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학생 안전과 민원 대응 부담으로 교육 본연의 활동이 위축되고, 아이들의 도전과 실패 경험이 실종됐다"며 "교사들은 자존감에 상처를 받고 있으며 학부모들은 소통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꼬집었다.
김 전 부교육감은 충북교육청의 성과 중심 전시행정의 전형적인 사례로 '다채움 플랫폼'과 AIDT(AI 디지털 교과서) 사업을 꼽기도 했다.
김 전 부교육감은 "'다채움 플랫폼'은 현장 실제 활용률이 낮고 학교 교육 활동과 괴리돼 있다"며 "AIDT 사업은 무리한 밀어붙이기식 사업으로 평가받는 전 정부의 사업을 전국에서 2~3번째로 많이 채택해 교육 재정을 심각하게 낭비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현장 의견 수렴 없이 도교육청 주도로 기획돼 추진되는 탑다운식 행사인 충북교육박람회는 중단해야 한다"며 "행사 참가를 위한 자료 제출, 부스 운영, 학생 동원 등의 과도한 행정업무로 인해 수업과 평가 등 본연의 교육활동이 침해될 것"이라고도 했다.
그러면서 "현재 과열 경쟁의 선을 넘은 충북교육은 파행을 초래할 것"이라며 "협력 등 전인교육의 틀 안에서 교육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