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훈련소 본점 군마트. 국방부 제공국방부가 군 마트(PX) 민영화를 물밑 추진하다 내부 반발에 부딪혀 철회했다.
19일 군 소식통에 따르면 국방부는 전날 육군과 공군의 군 마트에 대한 민간 편의점 입점 계획을 백지화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국방부는 2010년부터 해군‧해병대 군 마트를 GS리테일에 민간위탁 전환했고, 최근 이를 육군과 공군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비공개 추진했다.
이를 위해 국군복지단이 지난해 12월 육군과 공군을 상대로 민간 편의점 입점에 대한 1차 의견수렴에 이어 올해 1월 2차 의견수렴까지 마쳤다.
이에 육군 15곳, 공군 10곳 등 모두 25곳에 민간 편의점 입점을 희망한다는 회신이 돌아왔다. 이는 해군 군 마트만 해도 200여 곳인 점을 감안하면 매우 적은 규모다.
이들의 희망 사유로는 'PX보다 판매물품이 다양'하거나 '격오지 부대 장병 복지증진' 등이 제시됐다.
하지만 군내에선 군 마트 민영화에 따른 일부 편익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으로는 기업의 이윤 추구에 따른 장병 복지 축소에 대한 우려가 나왔다.
국군복지단 노동조합은 해군‧해병대 군 마트의 민간위탁 운영의 경우 장병들의 경제적 부담 증가로 귀결했다며 "이미 실패한 사업"이라고 비판했다.
노조는 "군 마트(PX)와 동일 제품을 동일 가격으로 판매한다는 계약 조건은 규격이 다른 제품으로 대체해 모든 동종 유사물품이 군 마트보다 비싼 가격에 판매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뿐만 아니라 위탁운영 편의점 중 일부는 소규모 부대에서의 매출 부족을 이유로 철수하거나, 당초 약속과 달리 해당 부대 장병을 판매원으로 근무시키는 데 따른 불만도 제기됐다.
노조 관계자는 "군 마트는 매출보다 복지 제공이 목적이며 열악한 환경의 소규모 부대에서 그 역할이 더욱 중요하며, 발생한 이윤은 다시 군 복지에 환원하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이어 "반면 민간위탁 마트는 대규모 매출이 발생할수록 그 이윤이 해당 기업 주머니로 가고 있다"면서 "결국 장병의 소비에서 나온 이윤을 다시 장병에게 돌려주기 위한 군 마트 운영의 본래 목적은 온데간데 없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군내에선 대통령 탄핵과 국방부 장관 부재 상황에서 군 마트의 민영화라는 간단치 않은 사안이 추진된 것에 의구심이 일기도 했다. 과포화 상태인 편의점 업계의 이해가 반영된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국방부는 결국 이 같은 반발에 부딪혀 군 마트 민영화 계획을 백지화했다. 다만 기존 해군‧해병대 군 마트의 위탁운영은 그대로 유지해 오는 6월 계약 종료에 따라 5년 단위 재계약을 맺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