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지난 5일 단행된 경찰 최고위직 인사와 관련한 현안질의를 실시한다. 야당은 이 자리에 승진 예정자들을 불러 윤석열 정부의 '코드·보은 인사' 의혹을 캐묻겠다는 구상이다.
국회 행안위 야당 간사인 윤건영 의원은 6일 CBS노컷뉴스와 통화에서 "오는 18일 상임위 전체회의를 열고 현안질의를 하기로 여당과 합의했는데, 그에 앞서 경찰 인사가 나왔으니 당연히 승진 예정자들을 불러야 한다"고 밝혔다.
야당은 현안질의에 고기동 행정안전부 장관 직무대행과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도 출석시킬 방침이다.
앞서 경찰은 박현수 행안부 경찰국장을 치안정감으로, 조정래 경찰청 치안정보국 치안정보심의관·남제현 경무관·박종섭 경무관 등을 치안감으로 승진하는 인사를 단행했다.
박현수 치안정감 내정자. 연합뉴스박현수 경찰국장은 윤석열 대통령의 당선인 시절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 파견됐고, 이어 대통령실 국정상황실에도 근무했다. 조정래 치안정보심의관은 대통령실 경비를 담당하는 101경비단 출신이다.
남제현 경무관은 현재 국정상황실에, 박종섭 경무관은 국무조정실에 파견된 상태다. 모두 윤석열 정부와 가까운 인사들로, 이번 경찰 최고위직 인사가 '코드·보은 인사'라고 의심받는 배경이다.
특히 야당은 경찰 최고위급 인사에 관여하는 경찰청장과 행정안전부 장관·국무총리 등이 모두 직무대행 상태임을 문제삼고 있다.
현행 경찰공무원법은 경찰 총경급 이상 인사의 경우 경찰청장의 추천을 받은 사람을 행안부 장관이 제청해 국무총리를 거쳐 대통령이 임명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국회 행안위 야3당 위원들은 "경찰의 국회 봉쇄와 언론사 단전단수 등 비상계엄 가담 의혹이 제대로 규명되지도 않았는데 기습적으로 경찰 최고위급인 인사를 단행했다"며 "최상목 총리 직무대행, 고기동 행안부 장관 직무대행,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 3인이 인사 만행을 저질렀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찰의 내란 가담 정도가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지금 경찰의 2인자인 치안정감과 치안감 인사를 단행하는 것이 사리에 맞는 일이냐"며 "경찰은 국민적 신뢰를 회복해야 하는 상황에서 국민을 바라보지 않고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구속된 대통령 입맛에 맞는 인사를 추진했다. 이번 경찰 인사는 원점에서 재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