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北 "오늘 이후 정찰위성 발사"…한중일 회의에 파장 촉각



국방/외교

    北 "오늘 이후 정찰위성 발사"…한중일 회의에 파장 촉각

    국제해사기구 통해 日 정부에 통보…"27일 ~ 내달 4일 발사"

    북한의 작년 11월 정찰위성 발사 모습. 연합뉴스북한의 작년 11월 정찰위성 발사 모습. 연합뉴스
    북한이 한중일 정상회의가 열리는 27일 군사정찰위성을 조만간 발사하겠다는 계획을 국제사회에 공식 통보했다.
     
    합동참모본부와 일본 언론에 따르면 북한은 이날 새벽 국제해사기구(IMO)를 통해 일본 해상보안청에 정찰위성 발사 계획을 전달했다. 
     
    북한은 이날 오전 0시부터 다음달 4일 오전 0시 사이에 위성 발사를 예고했고, 일본의 배타적경제수역(EEZ) 바깥쪽 3개 해역을 낙하지점으로 지정했다. 
     
    이는 북한이 지난해 11월 첫 정찰위성 발사에 성공했을 당시 설정했던 해역과 동일한 것이다. 
     
    일본 해상보안청은 이에 따라 해당 해역에 대한 항행경보를 발령하고 낙하물에 대한 주의를 당부했다고 NHK 등 일본 언론이 전했다. 
     
    일본 언론에 따르면 동아시아‧서태평양 해역은 IMO 규약상 일본이 조정국이어서 일본 정부가 관련 선박에 대한 항행경보를 발령하게 돼있다. 
     
    일본 정부는 북한의 위성 발사 통보를 받은 직후, 방한 중인 기시다 후미오 총리 지시로 관계당국 회의를 진행했다. 
     
    아울러 한미일 북핵 6자회담 수석대표는 이날 새벽 긴급 전화협의를 갖고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는 탄도미사일 기술 사용을 금지한 유엔 안보리 결의 위반임을 재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합동참모본부는 지난 24일 한미 정보당국이 북한 동창리 일대에서 정찰위성 발사로 추정되는 정황을 식별하고 관련 동향을 면밀히 감시 중이라고 밝힌 바 있다. 
     
    북한이 정찰위성 발사를 실행할 경우 27일 서울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와 맞물려 미묘한 파장이 예상된다. 
     
    한국과 일본은 북한을 강력 비난하며 안보리 회부를 요구할 것인데 반해 중국은 다른 목소리를 낼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이 경우 4년여 만에 재개된 한중일 회합에 균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편 북한은 지난해 11월 첫 군사정찰위성 '만리경-1호'를 발사한 데 이어 올해 3기의 정찰위성을 추가로 발사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