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제공대구시가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블록체인 네트워크 개발에 착수했다.
대구시는 시민이 체감하는 블록체인 대구 실현을 위해 네트워크인 대구 '메인넷'을 구축한다고 2일 밝혔다.
이를 위해 지난 달 지방자치단체 최초로 시비 21억 원을 들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인 '메인넷'을 개발하기로 하고 지역기업인 루트랩,소셜인프라테크 컨소시움을 개발사로 선정했다.
메인넷이 구축되면 블록체인 코어, 스마트 컨트랙트,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BaaS) 개발과 함께, 분산 신원증명(DID), 대체 불가토큰(NFT), 토큰증권(STO) 등 다양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와 독자적인 실증이 가능해 타 도시와 차별화된 생태계 조성이 가능하다.
대구시는 현재 블록체인 기반 간편인증 서비스인 '다대구'와 민간·공공 마일리지를 통합하는 전자지갑 'D마일'을 운영 중이며, 앞으로 대구 메인넷 플랫폼을 기반으로 시민 체감형 서비스를 지속 확대해 블록체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해소하고, 대시민 서비스에 안정성과 편의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또,지난 상반기에 과기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오는 12월 수성알파시티에 문을 여는 블록체인 기술혁신센터를 중심으로 역외 기업 유치에 본격적으로 나서기로 했다.
이와 함께,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헬스케어와 모빌리티 등 타 산업과의 결합을 추진하는 블록체인 X 실증 사업과 기업성장 지원, 민관 협업 네트워킹 활성화, 수요공급기업 연결 등 행정적·정책적 지원을 통해 블록체인 산업 밸류체인을 완성한다는 방침이다.
대구시는 오는 2030년까지 블록체인 기업 100개사 조성을 목표로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에 입주기업 10개사를 모집하고, VC투자상담, 전문가 멘토링, 입주기업 간 교류회 개최 등 블록체인 유망기업을 종합 육성할 예정이다.
지역 청년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기 위해 기업과 연계해 최신 기술․서비스를 학습․체험하는 맞춤형 인력양성도 추진한다.
최운백 대구시 미래혁신성장실장은 "대구 메인넷 구축과 블록체인 기술혁신지원센터 유치로 관련 산업 육성 체계를 완성했다"면서, "앞으로 대구를 대한민국 블록체인의 선도도시로 조성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