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미국발 인플레이션 공포'…금리인상 압박 커지나



경제정책

    '미국발 인플레이션 공포'…금리인상 압박 커지나

    연합뉴스

     

    글로벌 경제에 급격한 인플레이션(물가상승)에 대한 공포가 드리우고 있다. 금리인상 압박이 점점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국내 4월 소비자물가지수(107.39)는 작년 같은 달보다 2.3% 올랐다. 3년 8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우리나라를 비롯해 세계 주요국의 최근 물가가 심상치 않다.

    미국의 4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같은 달 대비 4.2% 오르며 1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중국은 6.8% 급등, 2017년 10월 이래 최고치를 나타냈다.

    미 연방준비제도 등이 긴축정책에 나설 경우 증시 등 자산시장에 낀 거품이 꺼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면서 세계 증시는 출렁였다.

    또 미국이 금리를 올리면 신흥국은 달러 유출을 막기 위해 금리를 올리게 되고 경기 둔화나 부채 상환 부담 증가로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들썩이는 물가의 주요 원인 중 하나는 국제 유가다. 지난해 1분기 배럴당 30달러대였던 유가는 현재 2배인 60달러대에 이르고 있다.

    코로나 백신 접종과 함께 미국‧유럽연합‧중국 등 세계 경제 강국들의 경기가 동시에 회복되면서 철광석‧구리 같은 원자재 값도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또 지난해 물가 상승률이 낮았던 것을 반영한 기저효과의 영향이 크다는 진단이다.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기대비로 정해진다. 지난해 우리나라 1분기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 안팎에 머물렀다.

    정부는 최근 물가상승이 공급측면 요인과 기저효과로 인한 것으로 보고 있다. 2%를 넘어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일시적' 현상이라는 설명이다.

    이억원 기획재정부 1차관은 13일 한 방송에 출연해 국내 소비자물가가 2.3% 상승한 것과 관련해 "작년 4월이 굉장히 물가가 낮아 기저 효과가 있었다"면서 경기가 과열됐다고 진단하거나 금리를 올리기에는 이르다는 주장에 동의했다.

    아직 한국은행과 경제·금융기관들의 올해 우리나라의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도 대부분 2%를 넘지 않고 있다.

    지난달 15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 전망(1.3%)을 웃돌아 당분간 2% 내외 수준에서 등락하다 다소 낮아지고, 근원인플레이션율은 점차 1%대로 높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부는 2분기에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를 넘을 수 있지만 연간 기준으로 한은의 물가안정 목표인 2%를 웃돌 가능성은 적은 것으로 보고 있다.

    지금까지 인플레이션이 주로 공급측 요인에 맞춰져 있다면 앞으로는 경제회복에 따른 수요 증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백신접종으로 경제 재개가 빠르게 이뤄지고 보복 소비 등 억눌린 수요가 폭발하면 추세적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있다. 시기는 집단 면역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되는 3분기 이후가 될 수 있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지금까지 인플레이션은 대부분 유가나 농산물 같은 공급측 요인이었다"면서 "백신접종을 완료하면 수요쪽을 자극해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코로나 경기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완화적 통화정책'이 이어지면서 시중에 많은 돈이 풀린 것이 물가 상승의 원인 중 하나로 분석된다.

    3월 현재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313조원에 이르는데, 이는 코로나19 발생 이전 2019년 연 평균 2810조원보다 503조원이나 불어난 상태다.

    인플레이션에다 가계 빚 급증이 향후 기준금리 인상 결정에 어느정도 영향을 미칠 지 주목된다.

    올 들어서도 가계부채는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급증한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한은 내부에서도 제기되고 있다.

    지난달 15일 한은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에서 한 금통위원은 "1분기 가계대출이 정부의 강도 높은 규제에도 큰 폭으로 증가하는 등 금융 불균형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금융 안정 이슈에 대한 통화정책 차원의 고려가 필요하다"고 했다.

    한국은행 이주열 총재. 연합뉴스

     

    한은 금통위는 기본적으로 국내 경기 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해 기준금리를 결정하게 된다. 특히 미국 연방준비제도의 금리정책을 주시하지 않을 수 없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한은은 기준금리를 연준에 앞서 선제적으로 올릴 가능성은 크지 않다"며 "연준은 금리 인상에 앞서 양적완화 조절에 들어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우리나라도 인플레이션 안전지대가 아닌 만큼 앞으로 조기 금리인상 필요성 주장에 힘이 실릴 수 있다.

    하지만 코로나19 여파에 따른 경기 불확실성 등으로 본격적인 경기회복 궤도에 진입하지 못한 상태여서 기준금리를 예상보다 빨리 올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적지 않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