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어디까지 왔나



기업/산업

    코로나19 치료제·백신, 어디까지 왔나

    국내 16개사, 코로나19 백신·치료제 개발 나서
    시간·비용 줄이기 위해 기존 약물 '재활용' 방식 선호
    해외서는 신약 플랫폼 기술 이용 주목

    지난 12일 오후 코로나19 집단감염 현장인 서울 구로구 코리아빌딩의 선별진료소에서 의료진이 의심환자 검체를 채취하고 있다. (사진=황진환 기자)

     

    세계보건기구(WHO)가 '팬데믹'을 선언할 정도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공포심도 급속도로 번지고 있다.

    코로나19 전용으로 개발된 치료제나 백신이 없어 이같은 공포심은 더욱 커지고 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에 따르면 17일 현재 국내에서는 16개 바이오제약업체가 백신, 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다. 백신의 경우 GC녹십자나 SK바이오사이언스 등 5개 업체가 개발에 나서고 있다. 치료제 개발에 나선 업체는 셀트리온과 일양약품 등 11개이다.

    민간 제약사 외에 국립보건연구원도 최근 코로나19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항체 탐지용 단백질' 제작에 성공했다고 밝히기도 했다.

    그러나 백신이든 치료제든 상용화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자본이 필요하다.

    바이러스의 작용 기전을 찾고 효과가 있는 후보물질을 개발하면 전임상 및 임상1, 2, 3상을 통해 독성 유무,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해야 하기 때문이다.

    김형래 한국화학연구원 바이러스치료제팀장은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보통 15년 정도가 필요하고 비용도 1조 원 이상이 들어간다"며 "다만 신약이 성공하면 큰 수익이 나기 때문에 대형 제약사들이 개발에 매달리고는 있지만 코로나19처럼 갑작스럽게 발생하면 대응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래서 최근 코로나19와 관련한 치료제는 이미 개발된 다른 질병 치료제를 코로나19에도 적용하는 방식을 많이 쓰고 있다. 이미 시판 허가된 약물인만큼 인체 독성과 안전성은 입증됐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에보트사가 에이즈 치료제로 개발한 '칼레트라'나 일본의 도야마제약이 독감치료제로 만든 '아비간' 등이 대표적이다.

    국내 역시 이같은 신약 '재창출' 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일양약품은 백혈병 치료제로 개발한 '슈펙트'를 코로나19 치료제로 돌리기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뮨메드 역시 인플루엔자 치료제로 개발중인 'HzVSFv13주'를 코로나19에 적용하겠다는 계획이다.

    류충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감염병연구센터장은 "어떤 약물이 독성이 있는지 여부를 가리는데 시간과 비용이 가장 많이 들어간다"며 "미 FDA가 임상 3상을 허가한 약물은 인간 독성 문제가 해결된 물질"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1700여 개 되는 이들 약물을 화학연구원이 세포 수준에서 스크린을 하고 있으며 다음달 초쯤 이 작업을 마칠 방침"이라고 밝혔다.

    치료제나 백신 개발에 필요한 시간을 단축하는 또다른 방법은 '신약 개발 플랫폼'을 이용하는 방식이다. 과거처럼 바이러스 자체로 개별적인 백신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바이러스 유전체를 이용한 백신 개발틀(플랫폼)을 먼저 만든 뒤 개별 바이러스 유전체를 집어 넣으면 해당 백신을 만들 수 있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것이 '세피(CEPI)'다. 세피는 'The Coalition for Epidemic Preparedness Innovations'의 약자로 '전염병예방혁신연합'이라는 국제연합체다. 전염병 예방을 위한 백신개발을 임무로 지난 2017년 창설됐고, 빌게이츠 재단과 일본, 인도, 노르웨이 정부 등이 자금을 댔다.

    세피는 플랫폼 기술을 이용해 지난달 이미 코로나19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했고 다음달 임상1상에 들어갈 계획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