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칼럼]보편적 언어가 된 '평화의 소녀상', 과연 우리는?



칼럼

    [칼럼]보편적 언어가 된 '평화의 소녀상', 과연 우리는?

    지영한 칼럼

    일본 아이치(愛知)현 나고야(名古屋)시 아이치현문화예술센터에서 방문객들이 '평화의 소녀상'을 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일본에서 전시회 개막 뒤 사흘만에 전격 중단됐던 '평화의 소녀상' 전시가 이르면 오는 6일부터 재개될 것으로 보인다.

    전시 중단을 놓고 법적 갈등까지 빚은 일본 아이치트리엔날레의 주최측과 기획전시 '표현의 부자유전-그 후' 실행위원들이 30일 일본 법원의 가처분 사건 심문기일에서 전시 재개에 합의한데 따른 것이다.

    남은 전시회 일정을 감안할 경우 소녀상 전시 기간은 1주일 정도이지만 소녀상 사태가 일본 사회에 남긴 교훈과 여파는 적지 않아 보인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를 상징하는 소녀상이 일본 최대의 국제예술제에 전시되는 만큼 개막 전후로 일본 사회에는 큰 파문이 일었다.

    일본 우익은 '덴토쓰' 즉, 전화 돌격이라고 불리는 각종 항의 전화는 물론 방화 협박까지 벌이는 등 파상적인 공세를 벌였다.

    여기에다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도 가세했다. 전시 중지 하루 전날 스가 요시히데 관방장관이 전시회에 대한 정부 보조금 지급을 거부하겠다고 주최측을 압박했다.

    일본 현대미술상협회가 발표한 의견. 보조금 취소 결정을 폭거로 규정했다.(사진=연합뉴스)

     

    우익인 나고야 시장도 '일본 국민의 마음을 짓밟은 것"이라는 망언을 서슴지 않았다.

    정치와 예술의 영역을 분별하지 못하는 황당한 일이다. 자유로운 창작세계인 문화와 예술에 대한 반대와 협박은 표현의 자유를 부정하는 명백한 검열 행위이다.

    기획전 실행위원들이 "전후 일본 사회 최대의 검열사건"이라는 주장은 전적으로 옳아 보인다.

    이후 전시작품을 빼라는 참여 작가의 전시 보이콧 운동은 물론 SNS에서는 '내가 소녀상이다' 라는 저항운동까지 일어났다.

    특히 보조금 취소 결정을 철회하라는 시민청원엔 10만명 가까이 서명했고, 문화 예술인들의 시위도 조직적으로 진행되고 있다고 한다.

    우익들의 압박 속에서 얻은 '소녀상'의 전시재개는 표현의 자유를 지키려 노력한 일본 내 양심세력의 귀중한 승리로 환영할 일이다.

    평화의 소녀상은 지난 2011년 12월 14일 일본군 위안부 문제 해결을 위한 1000번째 수요집회를 맞아 시민 모금으로 일본 대사관 앞에 처음 세워졌다.

    '표현의 부자유, 그 후' 전시 중단 비판시위를 하는 일본인.(사진=연합뉴스)

     

    이후 미국 등 세계 곳곳에 세워지며 '평화와 인권'의 보편적인 상징이 되고 있다.

    단순한 예술 작품이 아니라 일본 제국주주의 불편한 진실을 담고 있는 것이다.

    일본이 소녀상 전시 사태를 계기로 자신의 과거사를 진지하게 마주할 용기를 갖길 기대하는 이유이다.

    하지만 최근 류석춘 교수나 이영훈 교수의 망언을 접하면 일본에 대한 비판과 기대에 앞서 우리안의 역사 편향과 왜곡부터 청산해야 할 것 같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