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산업혁명이 화두다. 누구도 명쾌한 답을 제시하지는 못하지만 멀지 않은 미래에 급격한 사회 변화를 초래할 것이라는 생각에는 대체로 동의한다. 낯선 개념과 용어, 여기에 당장이라도 4차 산업혁명이 현실이 될 것 같은 일부 호들갑스런 반응들에 당황하고 혼란스러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하지만, 기술 발전과는 별도로 4차 산업이 우리 생활에 깊숙이 스며들기 위해서는 경제성부터 윤리와 신뢰, 사회적 합의까지 넘어야 할 산이 많은 게 사실. 4차 산업이 무엇인지,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우리는 무엇을 준비하고 아이들에게는 어떤 교육이 필요한지, CBS가 차분하고 쉽게 짚어봤다. [편집자 주]<글 싣는="" 순서="">글>[4차 산업이란]
1. 4차 산업 어렵다고?…핵심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2. 4차 산업은 어떻게 서비스 되나…플랫폼 생태계 전쟁
[기대와 두려움 그리고 선결조건]3. 상상은 어떻게 장밋빛 현실이 될까
4. 자율주행의 딜레마…AI, 믿을 수 있을까
5. 로봇세? 자본세?…사회적 합의 없이 혁명도 없다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6. 일자리 대체? 보완?…사람이 답이다 7. 저출산 고령화와 4차 산업…어떤 직업 뜰까
8. 코딩과 메이커 교육 그리고 협업하는 괴짜
AI는 우리의 일자리를 빼앗을 것인가 혹은 보완할 것인가.
지난해 다보스포럼이 <일자리의 미래(the="" future="" of="" jobs)="">라는 보고서에서 "2020년까지 710만 개의 직종이 사라지고 200만 개가 새로 생겨 결과적으로 510만 개의 직종이 사라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으면서 사회가 바짝 긴장하고 있지만 "그 동안 기술혁신으로 일자리의 형태가 바뀔 뿐 일자리 자체가 줄어든 적이 없다"는 반박도 만만치 않다.
◈ 일자리 대체 = 4차 산업 시대, 수많은 직업이 사라질 수밖에 없다.
텔레마케터와 콜센터, 운송 뿐 아니라 의료와 법률 상담 등 전문 영역까지 대체될 가능성이 높다. 미국
는 속보 기사의 일부를 로봇이 작성했고, 최근 들어서는 IBM의 왓슨에게 암치료를 맡기는 국내 병원들이 많아지고 있다.
(사진=자료사진)
한국고용연구원 박가열 연구원 등이 진행한 연구에서는 청원경찰과 조세행정사무원, 경리사무원과 환경미화원, 택배원, 주유원, 부동산 중개인 등의 자동화 대체 확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는 등 단순 반복적이고 정교함이 떨어지는 동작이나 사람들과 소통하는 일이 상대적으로 적은 직종의 자동화 대체 가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전문직의 경우 분야가 더욱 세분화 및 전문화되거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이동할 것으로 예상됐다.
테슬라 CEO 엘론 머스크는 "인공지능의 파괴적 위협이 예상보다 광범위하고 빠르게 오고 있다"고 밝혔고, 2004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프랭크 윌첵(Frank Wilczek) MIT 교수는 "인공지능을 공상과학으로 보고 무시하는 것은 사상 최악의 실수가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 일자리 보완 = 반면 일자리 대체보다는 보완 쪽에 무게를 둔 전문가들도 많았는데, 구글 엔지니어링 담당 이사 레이 커즈와일(Ray Kurzweil)은 "인공지능은 화성에서 온 외계인이 아니라 인류가 만든 산물로 삶을 더욱 풍족하게 해줄 도구이므로 두려워할 필요 없다"고 밝혔다.
궁극적으로는 사람과 인류를 위한 기술 발전이라는 것인데, 이 같은 관점에서 AI 등 4차 산업기술들이 무분별한 대체보다는 인류를 보완하는 기술로 활용될 것이란 전망이다.
이 같은 주장은 UN이 지난 15년 채택해 30년까지 이행하기로 한 '지속가능개발목표'와도 일치하는데 UN은 빈곤과 불평등 해소, 환경보호, 모두를 위한 번영 등 17대 목표 230개 지표를 제시한 바 있다.
UN은 '지속가능개발목표'를 통해 빈곤과 불평등 해소, 환경보호, 모두를 위한 번영 등 17대 목표 230개 지표를 제시한 바 있다. (출처=UN홈페이지)
이 밖에도 "자신들의 일자리를 빼앗기지 않기를 원하는 인간들이 의회를 통해 특정 유형의 기술 개발을 제한한다"든지, "노동자를 도와야 한다는 공직 후보들의 출마 등의 견제 활동은 계속될 것"이란 전망들도 많다.
뿐 만 아니라 인공지능이 인간의 감성과 철학적·윤리적 판단을 대신할 수 있을지 여부 또는 로봇세로 대표되는 세금 부과에 대한 사회적 합의 등 변수가 너무 많다는 점도 강조된다.
정동훈 광운대 교수는 "인간의 가치와 감성, 판단을 도외시한 채 기능적 측면만을 놓고 직업 대체 여부를 강조해선 안 된다"고 강조했다.
◈ 사람이 답이다 =자동화와 AI로 대체되는 일자리가 많은 것이 사실이지만, 이 같은 변화가 결과적으로 인류의 통제 범위 안에서 이뤄질 것이라는 전망이 아직까지는 우세한 셈이다.
센서를 통한 데이터 수집과 분석도 중요하지만, 수집된 데이터에 생명을 불어넣는 것은 사람이라는 주장.
정 교수는 "인공 지능과 로봇의 위협과 일자리 소멸 등 사회적 문제의 발단은 기술이 아닌 해당 기술을 만드는 인간에게 있다"며 "때문에 기술을 두려워할 것이 아니라 인간의 탐욕과 오판을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한국고용정보원 박가열 연구원은 "사람을 내치는 쪽으로 기술을 사용할 것인지 혹은 성장시키기 위해 기술을 활용할 것인지, 키는 사람이 쥐고 있다"고 강조했다.일자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