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개통 20년' KTX, 10억 5천만 명 싣고 달렸다…일상·문화 바꿔



대전

    '개통 20년' KTX, 10억 5천만 명 싣고 달렸다…일상·문화 바꿔

    전국 반나절 생활권…지역 균형발전 일등공신
    누적 운행 거리 6억 4581만㎞, 지구 둘레 1만 6150바퀴
    장거리 고급 교통수단 역할, 철도로 완전 대체
    올해 최고 속도 320㎞/h 차세대 친환경 고속열차 등장

    KTX. 코레일 제공KTX. 코레일 제공
    지난 2004년 4월 1일 첫 운행을 시작하며 개통 20년을 맞은 고속열차 KTX의 누적 이용객이 총 10억 5천만 명을 돌파할 것으로 보인다.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든 KTX는 이동과 만남을 간편하게 만들고 지역 균형발전에 기여한 일등 공신으로 평가받는다.

    31일 한국철도공사(코레일)에 따르면 KTX가 개통 이후 20년 동안 태운 10억 5천만 명은 우리나라 5천만 국민 한 사람이 20번 이상 이용한 수치로 환산할 수 있다.

    지난해 하루 평균 이용객은 23만 명으로 개통 초기 7만 명보다 3배 이상 늘었고 연간 이용객은 개통 첫 해 2천만 명에서 지난해 기준 8400만 명을 돌파했다. 올해는 8900만 명을 넘어설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KTX 이용객은 증가세를 거듭하고 있다. 개통 2주 만에 이용객 100만 명을 돌파한 KTX는 142일 만에 1천만 명을 넘어섰다. 3년 21일 만인 2007년 4월 21일에는 누적 이용객 1억 명을 달성했다.

    이는 일본 신칸센의 3년 3개월 17일, 프랑스 TGV의 5년보다 앞선 기록이다. 개통 후 누적 이용객 5억 명까지 걸린 시간은 11년 5개월이지만, 10억 명까지 걸린 시간은 7년 11개월로 3년 5개월이나 앞당겨 달성했다.

    2004년 개통 첫해 경부와 호남 2개 노선 20개 역에만 다니던 KTX는 현재 전국 8개 노선의 69개 역에서 이용할 수 있다. 하루 평균 운행 횟수는 토요일 기준 369회에 달한다.
    코레일 사옥. 코레일 제공코레일 사옥. 코레일 제공
    KTX가 달려온 누적 운행 거리는 6억 4581만㎞로 나타났다. 약 4만㎞인 지구 둘레를 1만 6150바퀴 돌 수 있는 거리다.

    모든 승객이 이동한 거리를 합치면 2634억㎞에 달한다. 지구에서 태양까지 거리(1억 5천만㎞)의 1750배에 해당하는 거리인 셈이다.

    최고속도 300㎞에 달하는 KTX의 등장은 서울과 주요 도시를 2시간 대로 연결하며 전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들었다. 거리와 시간적 부담의 해방은 대한민국 사회의 문화적 다양성을 증진하고 지역 균형발전을 뒷받침했다고 평가받는다.

    KTX 개통 이후 지역 간 여객수송에서 철도분담률이 대폭 증가한 것도 특징으로 꼽힌다. 중장거리 이동 시 국민의 교통수단 선택권이 확대된 셈이다.

    항공이 독점해 온 서울-대구, 서울-부산 등 장거리 고급 교통수단의 역할은 철도로 완전히 대체됐다. 짧은 소요 시간, 높은 도심 접근성,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이 결정적 역할을 했다.

    수도권-대구 구간의 철도 수송 분담률은 2003년 12%에 불과했지만, 2012년은 60%로 5배나 성장했다. 수도권-부산 구간 역시 38%에서 69%로 배 가까이 늘었다.
     
    반대로 항공 분담률은 급격하게 하락하며 수도권-대구 구간에서 항공 수송 분담률은 2003년 11%였던 것이 2012년에 1%로 떨어졌다. 수도권-부산 구간 역시 32%에서 15%로 급락했다. 항공 수요 대부분을 KTX가 흡수한 셈이다.
    EMU-320 외장 디자인 시안. 코레일 제공EMU-320 외장 디자인 시안. 코레일 제공
    KTX는 그간 지속해서 진화를 거듭했다. 최초 프랑스 알스톰사의 기술에 기반을 뒀던 KTX는 국내 전문가가 제작에 참여하면서 기술력을 쌓았다. 그 결과 2008년 11월 한국형 고속철도 KTX-산천이 탄생했다.

    이후 2021년 전혀 새로운 동력 방식의 KTX-이음을 선보인 데 이어 올해는 국내 최고 운행속도 320㎞/h를 자랑하는 차세대 친환경 고속열차가 등장한다.

    현재 경부고속선과 호남고속선에서 시험 운행 중인 EMU-320으로 시속 300㎞ 이상으로 달릴 수 있고 KTX-이음과 비교해 객실 좌석이 35%가량 늘어난 515석(이음 381석)에 달한다. 복합연결할 경우 1030석으로 KTX보다 수송 효율이 9%가량 개선된다.
     
    시험 운행을 마치고 올 상반기 중 운행을 시작할 계획이다. 2028년까지 순차적으로 총 19대가 도입된다.

    코레일은 KTX 개통 20주년을 기념해 각종 기념행사를 열 계획이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