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금속노조 "조선업 하청노동자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 만들자"



경제 일반

    금속노조 "조선업 하청노동자 위한 사회적 논의기구 만들자"

    금속노조, 51일 파업 이어가던 대우조선 하청노조 교섭 타결에 "사회적 승리 거뒀다"
    "조선업 하청노동자 처우개선, 고용 및 노조활동 보장은 개별 사업장 문제 아냐…범사회적 논의 시작하자"

    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사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22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협력사 대표들과 하청노조 조합원들이 악수하는 모습. 연합뉴스대우조선해양 하청 노사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된 22일 경남 거제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에서 협력사 대표들과 하청노조 조합원들이 악수하는 모습. 연합뉴스
    대우조선해양 하청업체 노동조합의 파업이 51일 만에 마무리된 가운데, 노조는 조선업 하청노동자의 처우 개선과 노조 활동을 보장하기 위한 사회적 논의를 요청했다.

    민주노총 금속노조는 22일 성명서를 통해 같은 날 이뤄진 대우조선 하청노조의 교섭 타결에 대해 "사회적 승리를 거뒀다"고 자평했다.

    이날 대우조선해양의 협력업체들과 민주노총 전국금속노조 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는 교섭 끝에 잠정합의안을 도출했다. 이에 따라 지난 달 22일 시작했던 하청노조의 파업도 함께 마무리된다.

    금속노조는 '사회적 승리'로 평가한 근거로 "전국의 시민이 조선하청 노동자라는 낯선 영역을 마주했고, 그 삶의 어려움에 공감했다. 일을 하면 할수록 빚이 쌓이는 조선소 하청노동자의 삶에 함께 분노했다"며 "51일의 파업 투쟁은 이제 사회적 승리로 다시 태어난다"고 주장했다.

    이어 "정부를 포함한 조선산업 원·하청 노사, 노동시민사회단체, 정당, 종교계 등에 범사회적 논의기구 구성을 제안한다"고 밝혔다.

    하청의 재하청 구조가 복잡하게 얽힌 조선업계 하청노동자들의 저임금, 고용불안 등 열악한 처우를 개선하고, 이들의 노조활동을 보장하려면 개별 사업장 단위의 노사관계에서는 해결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지적이다.

    또 그동안 지적됐던 이른바 '노노(勞勞) 갈등'에 대해서는 "조선하청 노동자들이 싸우는 현장에는 사측이 조장한 노동조합 분열과 갈등에 맞서 싸운 원청 노동자의 저항도 있었다"며 "회사와 수구언론이 노노갈등으로 몰고 색칠을 하려 해도 대우조선지회 조합원은 분열 음모를 뚫고 민주노조를 지켰다"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