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70년을 궁에 살아온 한많은 여인의 역사-한중록



문화 일반

    70년을 궁에 살아온 한많은 여인의 역사-한중록

    고궁 전각에 얽힌 재미있는 뒷 얘기 시리즈㉑ 창경궁 경춘전

    .
    창경궁 경춘전. 혜경궁 홍씨가 81세를 일기로 한많은 일생을 마친 곳이다. (사진=문영기 기자)

     

    ▲너무 오래 살아 한(恨)이 많은 여인 -혜경궁 홍씨

    창경궁 경춘전에 햇살이 드리워졌다. 백발의 여인은 가쁜 숨을 몰아쉬다 결국 숨을 거뒀다. 정조의 어머니이자 사도세자의 부인, 혜경궁 홍씨다.

    81세까지 살았으니 당시 조선의 평균수명을 감안하면 상당히 장수한 셈이다. 하지만 그녀의 삶은 오래 산 만큼 행복하지 못했다.

    혜경궁 홍씨는 나이 아홉 살에 세자빈으로 간택됐다. 노론쪽의 명문가 홍봉한의 딸이다. 그녀가 궐에 들어와 산 세월은 무려 70년을 헤아린다. 재위 기간이 50년이 넘는 영조를 비롯해 정조, 순조까지 3명의 왕와 함께 했다.

    환갑이 지난 나이에 10년간에 걸쳐 한중록을 집필한 혜경궁 홍씨. (국립극단 홈페이지에서 발췌)

     

    혜경궁 홍씨는 세자빈으로 간택된 뒤, 세손(정조)을 낳아 영조의 총애가 남달랐다고 한다. 하지만 그것도 잠시, 남편인 사도세자와 시아버지 영조 사이에 갈등이 불거지면서, 혜경궁 홍씨의 인생행로는 불행으로 점철되기 시작했다.

    사도세자는 잘 알려진 대로 아버지 영조의 명에 따라 뒤주에 갇혀 숨을 거둔 비극의 주인공이다. 남편이 고통속에 숨을 거두는 장면을, 그것도 9일동안 지켜보는 심정은 헤아리기 어려운 고통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그녀는 슬픔을 내색할 수 조차 없었다.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아간 정치세력이 그녀의 아버지가 이끄는 노론세력이었던데다, 아들(정조)의 안위를 지켜야할 절박한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역설적이게도 아들의 안위를 지켜줄 사람은 남편을 죽인 시아버지 영조뿐이었다. 그녀는 어린 아들을 품에서 떠나보내기로 했다.

    그것으로 그칠 일이 아니었다. 아들을 살리기 위해 그녀는 자식을 포기해야 했다. 죄인으로 죽은 사도세자의 아들이라는 신분은 가장 치명적인 약점이자 생명을 담보할 수 없는 불안한 처지임을 그녀는 잘 알고 있었다.

    결국 어린 나이에 요절한 영조의 큰 아들 효장세자의 양자로 자신의 금쪽같은 아들을 내주고 말았다. 하지만 그녀의 불행은 거기서 끝나지 않았다.

    임금 정조. 보위에 오르면서 가장 먼저 한 일은 아버지 사도세자에 대한 복권이었다.(홈페이지에서 캡쳐)

     

    ▲아들과 며느리에게 당한 정치보복

    정조가 보위에 오른 뒤 처음 한 일은 아버지 사도세자의 명예회복이었다. 이는 자신의 정통성을 세우기 위한 정치적인 행위이기도 했다.

    노론에 대한 탄압은 필연적인 일이었다. 사도세자를 제거하는데 앞장섰던 아버지 홍봉한은 관직에서 밀려나 역적소리를 듣다 사망했고, 작은 아버지 홍인한은 영조에게 세손(정조)의 즉위를 반대하면 올렸던 ‘삼불필지(三不必知)’가 문제가 돼 결국 사사되고 말았다.

    훗날 정조가 홍씨 가문, 즉 외가에 대한 가혹한 처사를 뉘우치고 어머니 홍씨에게 효도를 다했지만, 불과 5년도 지나지 않아 아들 정조는 어머니 홍씨보다 먼저 눈을 감고 말았다.

    아들 정조가 승하하자, 일시나마 평온했던 혜경궁 홍씨의 삶은 다시 요동치기 시작했다. 정조의 보위를 물려받은 나이어린 순조가 즉위하면서 대왕대비인 정순왕후의 대리청정이 시작된 것이다.

    정순왕후는 영조의 계비다. 영조가 환갑이 지나 맞은 부인인데, 시집올 때 나이가 열 여섯이었다. 남편 영조와 무려 쉰 한 살의 차이가 나고, 며느리인 혜경궁 홍씨보다도 열 살이 어렸다.

    더구나 정순왕후는 사도세자를 죽음으로 몰아넣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만큼, 혜경궁과 사이가 좋을 리 없었다.

    수렴청정을 하면서 조정의 권력을 한 손에 틀어 쥔 정순왕후는 자신보다 나이 많은 며느리 혜경궁 홍씨와 홍씨의 가문을 탄압하기 시작했다.

    혜경궁 홍씨의 지위는 며느리보다 낮게 격하됐다. 그녀는 심지어 친손자인 순조의 혼례식때 폐백조차 받지 못했다.

    그녀는 경주 김씨의 세도가 판을 치던 순조 재위기간중 왕실 어른으로서 제대로 대접도 받지 못한 채, 창경궁 경춘전에서 사실상 갇혀 지내다 한 많은 생을 마감했다.

    사도세자가 뒤주에 갖혀 죽은 현장. 창경궁 문정전 (사진=문영기 기자)

     

    ▲ 한 많은 여인의 궁중잔혹사? 한중록(閑中錄)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가 1795년부터 1805년까지 10년동안 집필한 일종의 회고록이다. 1편은 정조때 자신이 회갑을 맞은 해에 쓰여졌다. 어쩌면 그녀가 가장 편안하고 행복했던 시절이라고 할 수 있다. 나머지 세편은 순조 1년, 동생 홍낙임이 천주교 신자라는 죄목으로 사사된 뒤 쓰여졌다.

    한중록은 혜경궁 홍씨의 개인 기록이지만, 당시 조선의 피비린내 나는 정쟁과 암투가 생생히 그려진 궁중 기록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