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긴축 충분히 유지"…물가 불안에 금리인하 시기 안갯속



금융/증시

    "긴축 충분히 유지"…물가 불안에 금리인하 시기 안갯속

    서울 시내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박종민 기자서울 시내 한 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박종민 기자
    성장률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금리 인하가 더 요원해졌다. 경기 호조와 성장세로 소비 등이 살아날수록 물가 압력이 커져 금리를 낮추기 더 어려워진 것이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23일 "물가가 목표 수준으로 수렴할 것이라는 확신이 들 때까지 현재의 긴축 기조를 충분히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이날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연 3.5%로 11차례 연속 동결했다.
     
    이 총재는 "올해 하반기 중 기준금리를 인하하더라도 그 시점에 대한 불확실성은 지난 4월에 비해 훨씬 커졌다"고 밝혔다. 물가가 관건인 셈이다.

    한은은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1%에서 2.5%로 높였다. 그러면서도 소비자 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2.6%로 유지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이 총재는 "성장률 전망치가 올랐으니 당연히 물가 상승 압력도 커졌지만, 물가 정책을 통해 상쇄되는 부분 등을 고려할 때 기존 2.6%를 바꿀 정도는 아니라고 봤다"고 설명했다.
     
    경기 호조에 따른 물가 영향이 크지 않겠지만, 인플레이션 압력은 커진 만큼 기준금리 인하 시점이 늦어질 것으로 보인다.
     
    물가와 성장의 함수 속에서 미국이 피벗(통화정책 전환)을 미루면서 원/달러 환율 이슈도 금리 시점 저울질의 추로 작용하고 있다. 한은이 먼저 금리를 내린다면 환율이 치솟을 수도 있어서다.

    이 총재는 "너무 일찍 정책 기조를 전환할 경우 물가상승률의 둔화 속도가 느려지고 환율 변동성과 가계부채 증가세로 확대될 리스크가 있다"며 "너무 늦게 전환할 경우에는 내수 회복세가 약화되는 가운데 연체율 상승세 지속 등 시장 불안 리스크가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증권가에서는 한은이 인하 카드를 품고 있는 만큼 한 차례 정도의 인하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을 대체로 유지했다. 시기는 10월쯤으로 예상하지만, 더 이른 8월로 내다보기도 하고, 4분기로 미뤄질 가능성도 제시하는 등 전망은 엇갈린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