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백악관 "한국이 투자한 133조원, 미국의 일자리 창출"



미국/중남미

    백악관 "한국이 투자한 133조원, 미국의 일자리 창출"

    핵심요약

    한국 기업 덕에 미국 경제 좋아진다면서 한국 반도체 기업들의 반사이득은 못마땅

    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숙소인 블레어 하우스에 도착, 교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미국을 국빈 방문한 윤석열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워싱턴DC 숙소인 블레어 하우스에 도착, 교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백악관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이 윤석열 대통령이 워싱턴DC에 도착한 24일(현지시간) 별도의 브리핑을 열고 이번 국빈방문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윤석열 대통령의 국빈 방문은 한미동맹 70년을 기념하는 것으로, 우린 이 동맹의 지난 70년을 축하하고 앞으로의 70년을 고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동맹은 한반도를 넘어 이제 인도태평양과 전 세계에서 선(good)을 위한 힘이 되고 있다. 두 정상은 윤 대통령 취임한 지 1년이 채 안 되는 기간 동안 직접 친분을 쌓았고, 이미 총 4차례를 만났다"고 말하며 두 사람의 친분을 강조했다.
     
    그는 이어 한국 기업의 대미 투자를 언급했다. 
     
    "우리의 경제와 인적 유대가 이번 국빈방문의 중심이 될 것이다. 바이든 행정부 시절만 해서 지난 2년여 동안 한국은 미국에 1천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다. 그것은 미국 전역에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고 있다. 여기에는 텍사스의 삼성 반도체 공장, 현대의 전기차 공장, SK 배터리 공장의 상당한 신규 투자 등이 포함된다."
     
    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연합뉴스제이크 설리번 미국 국가안보보좌관. 연합뉴스
    우리 기업들이 미국에 133조원을 투자해 미국 경제가 좋아졌다는 설명이다.
     
    그런데 백악관이 뒤에서는 한국 기업들의 손발을 묶기 위해 윤석열 정부를 압박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의 전날 보도다.
     
    중국은 미국의 대중 경제 제재에 대한 보복으로 미국 반도체 기업 마이크론의 중국내 판매 금지를 검토중이다.
     
    이렇게 되면 마이크론과 세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을 3등분중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의 중국내 매출이 올라갈 수 밖에 없다.
     
    그런데 백악관은 우리 기업이 이 같은 '반사이익'을 얻지 못하게 국빈방문에 앞서 우리 정부에 노골적으로 요구했다는 게 파이낸셜타임스의 보도 내용이다.
     
    이번 국빈방문 때 우리 주요기업 122개 회사 경영진이 총출동했다.
     
    미국은 이들에게도 윤 대통령과 같이 최고 환대를 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미국이 이 같은 '저녁식사'를 대접하기도 전에 그에 대한 청구서를 한국에 제시했다는 관측이 나온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