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노태우 전 대통령 올림픽공원서 영결식…과거사 둘러싼 간극은 여전



법조

    노태우 전 대통령 올림픽공원서 영결식…과거사 둘러싼 간극은 여전

    노태우 전 대통령 영결식 30일 오전 11시 송파구 올림픽 공원서 진행
    검소한 장례식, 국가장은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2번째
    김부겸 총리 "노 전 대통령 현대사 지울 수 없는 큰 과오 사실"
    노재봉 전 총리 "통치 참여는 1기생 장교들의 숙명"

    고 노태우 전 대통령의 부인 김옥숙 여사, 아들 노재헌 변호사,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등 유가족들이 3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 열린 노 전 대통령 영결식에 참석, 헌화 후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고 노태우 전 대통령의 부인 김옥숙 여사, 아들 노재헌 변호사, 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등 유가족들이 3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 열린 노 전 대통령 영결식에 참석, 헌화 후 이동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고(故) 노태우 전 대통령의 영결식이 30일 송파구 올림픽공원에서 국가장(國家裝)으로 엄수됐다.
     
    30일 오전 빈소인 서울대병원 발인을 시작으로 운구행렬은 자택이 있는 연희동 노제(路祭)를 거쳐 오전 10시50분쯤 영결식장인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 들어섰다.
     
    고인이 대통령 재임기간 중 가장 큰 치적으로 꼽고 있는 88서울올림픽을 상징하는 장소에서 영결식은 1시간 가량 진행됐다.
     
    부인 김옥숙 여사와 장녀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 장남 노재헌 변호사 등 유가족, 장례위원회 위원, 국가 주요 인사를 중심으로 50명 안팎의 인원이 참석했으며 검소한 장례를 희망한 고인의 뜻을 기려 영결식 참석인원은 최소한으로 제한됐다. 가수 인순이 씨와 테너 임웅균 씨가 88서울올림픽 주제가인 '손에 손잡고'를 추모곡으로 불러 눈길을 끌기도 했다.
     
    영결식을 마친 유해는 서초구 서울추모공원에서 화장 절차를 거쳐 파주 검단사에 임시 안치될 예정이다. 국가장은 김영삼 전 대통령에 이어 2번째다. 
     
    김부겸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 엄수된 고 노태우 전대통령 국가장 영결식에서 조사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김부겸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 엄수된 고 노태우 전대통령 국가장 영결식에서 조사를 낭독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한편 이날 영결식에서 전현직 국무총리들이 추모사를 통해 현대사에 대한 시각차를 보여 눈길을 끌었다.
     
    국가장 장례위원장인 김부겸 국무총리는 "오늘의 영결식은 고인을 애도하는 자리이자 새로운 역사, 진실의 역사, 화해와 통합의 역사로 가는 성찰의 자리가 돼야 한다"며 "오늘 우리는 그 누구도 역사 앞에 자유로울 수 없다는 준엄한 사실을 다시 한번 깨닫는다"고 강조했다.
     
    특히 88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 북방외교, 남북관계 전기마련, 토지공개념 도입 등 고인의 공적을 언급하면서도 "노태우 대통령님이 우리 현대사에서 지울 수 없는 큰 과오를 저지른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라고 지적했다.
     
    노재봉 전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 엄수된 고 노태우 전대통령 국가장 영결식에 참석해 추도사 낭독 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노재봉 전 국무총리가 30일 오전 서울 송파구 올림픽공원 평화의광장에서 엄수된 고 노태우 전대통령 국가장 영결식에 참석해 추도사 낭독 중 눈물을 흘리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반면 노재봉 전 국무총리는 "(노태우 전 대통령 등 정규육사 1기생들에게) 한국 정치는 국방의식이 전혀 없는 난장판으로 인식됐다. 이것이 그들(육사 1기생)로 하여금 통치기능에 참여하는 계기였다"며 과거사를 두둔하는 듯한 추모사를 남겼다.
     
    노 전 총리는 "이들(육사 1기생)은 목숨을 담보로 투철한 군인정신과 국방의식을 익혔을 뿐 아니라, 국민의 문맹률이 거의 80%에 해당하던 한국 사회에서 최초로 현대 문명을 경험하고 한국에 접목시킨 엘리트들이었다"며 "이는(통치기능 참여는) 이 1기생 장교들의 숙명이었다고 할 수밖에 없을는지도 모르겠다"고 평가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