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정부, ICT 활용해 비대면 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



산업일반

    정부, ICT 활용해 비대면 산업 경쟁력 강화 지원

    데이터·클라우드·블록체인 기술 발굴 위해 1800억원 투입

    (그래픽=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정부가 코로나19 대확산 상황에서 디지털 전환과 비대면 경제를 활성화하고자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하기로 했다. ICT 기반 서비스로 국민의 비대면 생활을 돕고, 플랫폼 구축과 제도 개선 등으로 비대면 기업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6일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회의 겸 한국판 뉴딜관계장관회의에서 관계부처 합동으로 이런 내용의 '비대면 경제 전환을 위한 ICT 활용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우선 국민이 언제 어디서나 일상 업무를 비대면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올해 공무원증에 디지털 신원증명을 적용하고 내년에 운전면허증에도 도입하는 등 그 범위를 점차 넓혀가기로 했다.

    소상공인을 대상으로 배달 로봇 시범 사업을 추진하고 근로자 간 협업이 가능하도록 가상·증강·혼합현실(VR·AR·MR) 솔루션을 개발한다. 20개 질환에 '인공지능(AI) 주치의'를 제공하고 AI 기반 디지털 치료제를 활용해 코로나 우울 극복 등 심리 치료 서비스를 발굴할 예정이다.

    비대면 기업에는 기술개발, 인재양성, 실증랩 개소 등을 지원한다. 내년부터 '디지털 오픈랩'을 조성해 비대면 기업들이 원격교육, 재택근무 등 서비스와 디지털 기기 등을 개발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다.

    (사진=연합뉴스)

     

    소프트웨어 기업이 전문가의 도움으로 비대면 솔루션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지원하고, 비대면 서비스 기업에 자금 보증·해외 진출 컨설팅 등을 포함한 '패키지형 성장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내년에는 1800억원 규모의 자금을 지원해 데이터, 클라우드, 블록체인 등 비대면 기술 전문기업을 발굴·육성할 계획이다.

    원격교육이나 재택근무 등 비대면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 300곳을 대상으로 보안 취약점을 진단하고 안전성을 점검한다. 클라우드 서비스 보안 강화를 위해 모의 훈련을 하고, 지역정보 보호 지원센터를 17곳으로 확대 개편한다.

    디지털 배움터 1천 개소를 활용해 디지털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역량 교육을 하고, 키오스크 표준 프레임도 개발한다.

    장석영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ICT 혁신 역량으로 비대면 경제 선도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관계부처와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