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중증 병상 '태부족'…임상위 "퇴원 기준 낮춰야"



사건/사고

    중증 병상 '태부족'…임상위 "퇴원 기준 낮춰야"

    "감염-방역 얽히면서 적재적소에 자원 배분 못하고 엉켜"
    발열이나 숨가쁨 증상 완화되면 퇴원 가능하도록 해야
    의심자 중 기저질환 있을 경우만 PCR 검사
    중앙의료원 상황실이 코로나19 병상 컨트롤타워 맡는다

    (사진=연합뉴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의 퇴원 기준을 현행보다 낮춰 중증 환자가 치료받을 수 있는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는 전문가 진단이 나왔다.

    현재 코로나19 확진자는 증상이 호전되더라도 2번의 유전자 검사(PCR)에서 모두 음성 판정을 받아 감염 가능성이 완전히 사라진 후에야 퇴원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80%에 달하는 경증 환자들이 필요 이상으로 병실에 입원했고, 그 여파로 중증 환자들이 입원해 치료를 받을 병상이 부족해졌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았다.

    ◇ 각 병원 경증 환자들 퇴원 시켜 병상 확보해야

    신종감염병 중앙임상위원회는 1일 서울 중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중앙감염병병원 방지환 운영센터장은 "발열이나 숨가쁨 증상이 호전되면 바로 퇴원을 고려하도록 당국에 건의했다"며 "호흡기 질환을 앓으면 마른 기침이 한동안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증상은 퇴원 여부 결정에 영향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중앙임상위원회 오명돈 위원장은 "외래 진료로 전환할 수 있는 상태를 퇴원할 시점으로 본다. 발열이 없거나 호흡기 증상이 호전될 경우를 말한다"며 "현재 각 병원에는 그런 (경증) 환자들이 많이 입원했다"고 짚었다.

    오 위원장은 "추가 감염을 우려해 '격리 입원' 중이지만, 병상이 매우 부족한 상황에서 치료 목적의 진료가 끝나면 일단 퇴원시키고 이후 감염 위험성은 방역 차원에서 접근해 지역사회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했다.

    현재 우리 보건당국의 대처가 '감염'과 '방역'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으려다보니,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는 데 실패했다는 뼈아픈 지적이다.

    실제로 국내 코로나19 13·14번째 사망자는 고령과 질병 등 위험 요인이 있는데도 대구 지역 병상이 부족해 자가 격리를 하던 중 숨졌다.

    방 센터장은 "퇴원한 경증 환자는 최초 증상 발현일 이후 21일까지 자가격리하는 것이 좋다"며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21일 정도가 지나면 바이러스가 몸에서 표출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 의심자 모두에게 PCR 검사? 미국·일본 사례 참고해야

    (사진=연합뉴스)

     

    전문가들은 코로나19 관련 증상을 보여 의심자로 분류되는 사람들 모두에게 PCR(유전자 증폭검사)를 시행하는 현재 방식도 변화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의심자라도 발열, 숨가쁨 등 폐렴 증상이 있거나 고령일 경우에 한해 PCR을 진행하자는 취지다.

    오명돈 위원장은 "현재까지 9만여건의 PCR 검사로 발견한 확진자는 3150명이다. 효율적인 검사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오 위원장은 비교 대상으로 일본과 미국 사례를 제시했다. 일본은 폐렴 등 기저 질환이 있던 환자일 경우, 미국은 역학적 특성 외 발열이나 기침, 숨가쁨 증상이 있어야만 PCR을 진행하고 있다.

    ◇ 입원 문턱 높이고 퇴원 완화해 '자원 선 순환' 만들어야

    중앙임상위는 중증 환자의 치료 병상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입원 기준을 높이고 퇴원 문턱은 낮춰, 입·퇴원의 순환을 원활하게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금은 입원하는 환자가 상당히 많은 반면, 퇴원 판단은 지나치게 경직돼 있어서다.

    이들은 코로나19 진원지인 중국 우한시의 사례를 제시했다. 우한시는 현재 고위험군 중심의 진료 전략을 펼치고 있다.

    심각 단계의 환자는 전담병원 6곳에 나눠 보내고, 중증 폐렴이 있거나 65세 이상 환자는 그보다 아래 단계인 지정병원 35곳으로 입원시키는 식이다. 나머지 경증 환자들은 체육관이나 학교 등을 개조한 격리 시설 2900여개에 수용 중이라고 한다.

    정기현 국립중앙의료원장은 "중증 환자가 사망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초점을 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25번 환자는 재감염 아닌 바이러스의 재활성화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코로나19 완치 판정 후 6일 만에 다시 확진 판정을 받은 25번 환자가 '재감염'이 아니라는 견해도 나왔다.

    분당서울대 감염내과 김의석 교수는 "25번 환자를 재감염이 아니라 바이러스의 재활성화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며 "급성 감염병을 일으키는 병원체가 드물게 환자 몸에 남았다가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에 유사 사례가 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25번 환자는 2월8일부터 같은달 22일까지 2주간 입원 치료를 받고 퇴원했다"며 "이후 가래와 기침 증상을 보여 진행한 재검사에서 양성이 나와 다시 입원했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퇴원 후 25번 환자는 자가 격리 상태를 잘 지켰고 확진자인 가족들도 아직 입원 중이다. 다른 감염자에 의한 재감염은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 중앙의료원, 코로나19 병상 컨트롤타워 역할

    중앙임상위는 중앙의료원이 코로나19 사태와 관련, 가용 가능한 병상을 조정하는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다는 계획도 밝혔다.

    정기현 원장은 "치료가 필요한 환자가 넘치는 상황에서 병상 사용을 조정하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중앙의료원 내 설치된 '코로나19 전원지원상황실'에서 각 지자체별로 확보할 수 있는 병상을 파악하고 중증 환자 위주로 협조가 진행되도록 조율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현재는 각 시도(지자체)가 자율적으로 환자 수용과 치료를 해결하고, 부족한 병상은 개별적으로 지원을 요청했다. 앞으로는 중증 환자 이송이 필요한 의료기관이 직접 중앙의료원 상황실이나 여유 병상이 있는 병원과 접촉하는 방식으로 바뀔 전망이다.

    정 원장은 "보건복지부나 중수본에서도 이런 전환을 전향적으로 검토하고 있어 곧 시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