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아프리카돼지열병, 1차 방역선 무너져…'늦장' '부실' 대응이었나



경제 일반

    아프리카돼지열병, 1차 방역선 무너져…'늦장' '부실' 대응이었나

    중점관리지역 바깥 첫 확진 사례…초기 설정 1차 방역선 뚫려
    정부, 김포 3차 발생 이후 하루 지나서야 중점관리지역 대거 확대
    음성 판정 내리고도 확진 농가 나오는 정밀검사…감염경로는 아직 '오리무중'

    아프리카돼지열병 혈액검사 (자료사진=연합뉴스)

     

    중점관리지역에서 제외됐던 인천 강화군에서 5번째 아프리카돼지열병(ASF)확진 사례가 발생하면서 아프리카돼지열병 1차 방어선이 결국 뚫렸다.

    정부는 돼지와 분뇨 이동을 제한하는 중점관리지역을 경기와 인천, 강원 전체 지역으로 대폭 확대했지만, '늦장', '부실' 방역 대응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중점관리지역 외부서 첫 ASF 확진…정부, 뒤늦게 중점관리지역 확대키로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4일 저녁 "전날 인천시 강화군 송해면 돼지농가의 예찰과정에서 확인한 ASF 의심 농가에 대한 농림축산검역본부의 정밀검사 결과 ASF로 확진됐다"고 밝혔다.

    이번 농가는 기존 발생 농가와 달리 유산이나 점막 출혈, 호흡 곤란, 폐사 등 증상이 발현돼 농장주가 신고하기 전에 예찰 차원에서 진행한 혈청 검사를 통해 의심 신고가 이뤄졌다.

    방역당국은 ASF 긴급행동지침에 따라 해당 농장의 돼지 400 마리를 긴급 살처분을 실시하고 ASF 발생원인 파악을 위한 역학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다만 이 농장의 반경 3km 안에는 다른 돼지농가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지난 17일 경기도 파주시 돼지농장에서 처음 발병한 이후 18일 연천군, 23일 김포시, 24일 오전 파주시에 이어 불과 일주일새 5번째 발병 농가가 발생했다.

    그동안 강화군은 이미 ASF가 널리 퍼진 것으로 추측되는 북한에 인접한 특별관리지역 14개 시·군에 포함됐다.

    하지만 방역당국이 ASF 위험이 가장 크다고 지목해 집중 대응했던 '중점관리지역'에는 포함되지 않았다.

    방역당국이 발병 초기에 설정한 1차 저지선인 중점관리지역 밖에서도 ASF가 발병하기 시작한만큼 사실상 정부의 방역대가 무너진 셈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강화군 농가의 의심 신고를 접수하자 23일 오후 파주시, 연천군, 김포시 등 기존 6개 시군이었던 중점관리지역을 경기와 인천, 강원 전체로 넓혔다.

    하지만 이미 전날인 지난 22일 저녁 김포시 농가에 3번째 확진 판정이 내려질 때부터 중점관리지역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기존 발생 농가가 있는 파주시, 연천군과 달리 서울의 베드타운으로 대도시와 왕래가 잦은 김포군의 지리적 특성과 더불어 6개 중점관리지역 중 가장 외곽에 있는 김포군에서 발병한 점을 감안해 방역 대응 수위를 추가로 강화해야 한다는 논리였다.

    하지만 농식품부 박병홍 식품정책실장은 23일 오전 언론브리핑을 진행할 때까지도 대응 수위를 강화할 것이냐는 거듭된 질문에 "검토해보겠다"는 답변만 되풀이했다.

    결과적으로 김포군과 맞닿아있는 강화군에서 5호 발병 농가가 나타나면서 정부 대처가 선제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모돈 제외하고 일부 돼지만 정밀검사, 믿을 수 있나…감염 경로 여전히 깜깜이

    한편 3호 발생 농가인 김포 농가는 정부의 '부실' 대응이 노출된 사례다.

    경기 김포 농가는 애초 지난 20일 돼지 채혈 정밀검사 결과 ASF에 걸리지 않았다는 '음성' 판정을 받았지만, 불과 사흘만에 발병됐다.

    이에 대해 농식품부 김현수 장관은 "도축장 관련 역학조사로 비육돈 샘플만 채취했기 때문"이라며 "앞으로는 모돈에 대한 샘플링을 강조하고, "전화예찰을 할 때도 모돈에 이상이 없었는지 구체적으로 예찰하겠다"고 해명했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한 모든 ASF 발병 농가는 모두 모돈, 즉 어미돼지에서 발병했는데, 정부는 정작 모돈을 정밀검사 대상에서 제외했다는 얘기다.

    정밀검사 자체도 인력 등의 한계를 감안해 일부 돼지를 샘플로 시료를 채취하고 있다.

    하지만 ASF는 감염원과 직접 접촉해야만 전염되기 때문에 음성 판정을 받은 농가라도 샘플이 아닌 돼지에 감염 돼지가 얼마든지 섞여있을 수 있다.

    이처럼 정부가 강도 높은 방역 대응을 벌이고도 '늦장', '부실' 논란에 휩싸이는 근본 원인은 여전히 최초 감염 경로는 물론, 각 농가별 전염 경로도 특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이런 가운데 현재 역학조사 결과 현재 발생 농가 가운데 1~4호 농가는 모두 차량을 통한 역학 관계에 있는 사실은 확인됐다.

    우선 최장 19일인 잠복기를 고려해 발생일 이전 3주(21일)로 설정한 역학조사 기간에서 1호 농가에 출입한 축산 관련 운반 차량이 2호 농가에도 출입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 2호 농가에서 출하한 돼지 운반 차량이 출입했던 축산시설을, 3호 농가의 돼지 운반 차량도 방문한 것으로 파악됐다.

    아울러 4호 농가의 축산 관련 운반 차량이 1호 농가에 출입했다.

    다만 정부는 "역학조사는 계속 진행 중에 있고, 현재 파악된 역학 조사 사항은 관련성이 확인된 것"이라며 "해당 차량이 이들 농가에 아프리카돼지열병를 전파한 요인으로 확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