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다시 돌아가도 이런 선택할까요?" 울며 떠난 정조국 MVP로 웃었다



축구

    "다시 돌아가도 이런 선택할까요?" 울며 떠난 정조국 MVP로 웃었다

    광주 정조국.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다시 돌아가면 이런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정조국(32, 광주FC)은 FC서울의 프랜차이즈 스타였다. 2003년 전신 안양 LG에 입단한 뒤 2015년(프랑스, 군복무 시절 제외)까지 줄곧 서울의 검붉은 유니폼을 입었다. 13년이라는 긴 시간. 늘 "축구 인생의 마지막도 서울에서"라는 생각으로 뛰었다.

    하지만 정조국의 입지는 점점 좁아졌다. 지난해 서울의 중심 공격수는 박주영과 아드리아노였다. 정조국은 11경기 1골 1도움에 그쳤다. 데뷔 후 가정 나쁜 성적표였다.

    아들 태하는 "아빠는 왜 안 뛰어?"라고 물었다.

    결국 정조국은 이적을 결심했다. 아들에게 축구선수 정조국을 보여주고 싶었다. 무엇보다 정조국 본인도 너무나 뛰고 싶었다. 결단을 내렸다. 13년 동안 집이라고 생각했던 서울을 떠나 광주로 향했다.

    "다시 돌아가면 이런 선택을 할 수 있을까요? 가장 큰 고민은 내가 서울을 떠날 수 있을까였어요. 그런데 너무 뛰고 싶었고, 축구선수 정조국을 태하에게 보여주고 싶었어요. 또 아내에게도 아직 살아있다는 걸 증명하고 싶었습니다. 사실 광주로 간다고 했을 때 아내는 멘붕이었어요. 서울을 떠난다는 것이 많이 아쉬웠겠죠. 게다가 내가 서울에서 어떻게 지켜온 자리인지 아니까 더 그랬어요. 하지만 내 결정을 지지하고 응원해줘서 이 자리에 온 것 같습니다."

    그렇게 정조국은 광주의 노란 유니폼을 입었다. 첫 경기였던 포항전부터 터졌다. 정조국의 부활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훈련 때는 못 느꼈는데 가장 기억에 남는 경기가 서울 유니폼이 아닌 다른 유니폼을 입고 뛴 첫 경기였어요. 검붉은 유니폼을 입지 않고 경기장에 나갔다는 자체가 실감이 안 났어요. 가장 큰 사건이었죠. 첫 골이 있었기에 지금이 있는 것 같아요. 그 골로 너무 큰 자신감을 얻었어요. 1년 사이 많은 걸 잃었고, 사람들의 시선도 부담이었어요. 첫 골이 있어서 마음 편하게 달려갈 수 있었습니다. 소중한 골이죠."

    그라운드에 뛰는 자체로도 행복했다. 성적도 자연스럽게 따라왔다. 남기일 감독의 전폭적 지지를 받으면서 31경기 20골을 넣었다. 17골의 아드리아노를 제치고 득점왕에 올랐다. 생애 첫 득점왕. 아들 태하는 아드리아노가 쫓아올 때마다 "아빠 뭐해, 힘내"라면서 자극을 줬다.

    "득점왕이 되고 아들이 날뛰면서 좋아했어요. 득점왕보다는 트로피가 보고 싶었던 것 같아요. 아드리아노가 1골 차로 따라왔을 때 아들 기분도 안 좋았어요. '아빠 뭐하냐, 1골 차다, 힘내라' 이런 말들이 자극제가 됐어요. 아들에게 트로피를 선물하고 싶습니다."

    서울 시절 정조국. (사진=한국프로축구연맹 제공)

     

    2016년 K리그 클래식 MVP까지 거머쥐었다. 베스트 11 공격수 부문에도 이름을 올렸다. 2010년 이후 처음 찾은 시상식장의 주인공이었다.

    결과적으로 정조국의 선택은 성공적이었다.

    "결과가 나왔고, 시선도 달라졌어요. 너무 좋은 선택이었죠. 축구선수는 그라운드 안에 있을 때 가장 빛나잖아요. 그 사실을 다시 뼈저리게 느낀 한 해였어요. 사실 시상식 전에 아내와 이야기하면서 '우리에게 다시 이런 일이 일어날 수 있을까'라고 했어요. 앞만 보고 달려왔으니 11월까지는 즐겨야죠."

    2002년 한일 월드컵에서 고등학생 신분으로 훈련에 참가한 유망주에서 이제는 서른둘 베테랑이 됐다. 하지만 태극마크는 여전히 정조국의 꿈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