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영상] 죽음까지 생각하게 만드는 끔찍한 '블랙기업'



사건/사고

    [영상] 죽음까지 생각하게 만드는 끔찍한 '블랙기업'

    [YouTube 영상보기] [무료 구독하기] [nocutV 바로가기] [Podcast 다운로드]

    지난해 부모님의 반대에도 취업을 위해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A(26.여) 씨의 첫 직장은 악몽이었다.

    신생 엔터테인먼트 회사에서 한 달 동안 팀장에게 '쌍X'과 '씨X년'등 입에 담지 못할 폭언을 듣고 물건을 자신에게 집어 던지고 멱살을 잡히기도 했다. 계속되는 폭언에 A 씨는 점점 자신감과 자존감이 없어져 결국 퇴사를 선택했다.

    경기도의 한 중소기업에서 사무직으로 일한 B(29.여) 씨는 성희롱과 추가 근무 강요에 시달려야 했다.

    '너로 인해 간통법이 없어졌으면 좋겠다', '누구랑 닮아서...내 딸을 맡아서 너랑 잘해봤으면 좋겠다'며 직장 상사로부터 성희롱을 당했다.

    심지어 남자 직원이 그녀에게 야한 동영상을 문자로 보내기도 했다. 극심한 스트레스로 인해 하혈하는 일도 있었다는 B 씨는 더이상 참을 수 없어 회사를 나왔다. 그녀는 퇴사 후 "내가 왜 살지"라는 생각이 들면서 극단적인 방법을 생각한 적이 있었지만 옆에서 지켜준 가족을 보며 아픔을 이겨냈다고 말했다.

    청년유니온은 이같은 블랙기업의 패턴과 거기서 겪게 되는 청년들의 어려움을 확인해보기 위해 블랙기업 피해 사례를 수집해 '한국형 블랙기업 지표개발 연구보고서'를 냈다.

    블랙기업은 계약직과 인턴 등 고용불안 상태에 있는 청년노동자들에게 저임금과 장시간 노동 등 불합리한 노동을 강요하는 기업을 말한다.

    블랙기업 제보사이트에 접수된 사례를 분석한 결과 장시간 노동(69.8%), 연장수당 미지급(36.5%), 임금체불(31.7%), 폭언(23.8%), 근로계약서 미작성(17.5%), 정규직 희망고문(15.9%), 성희롱·성추행(7.9%) 등의 유형이 나타났다.

    김민수 청년유니온 위원장은 "'블랙컨슈머' 처럼 '블랙기업'이란 단에 자체가 우리 사회 전반에서 보편적인 단어로 자리 잡게 하기 위해 이상봉과 위메프로 대표되는 블랙기업의 사례를 끊임없이 드러내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