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단독] 교육부, 소속기관 공모직에 '낙하산' 논란



사건/사고

    [단독] 교육부, 소속기관 공모직에 '낙하산' 논란


    세월호 참사 이후 박근혜 대통령이 관피아(관료+마피아) 척결을 기치로 내세운 가운데 교육부가 소속기관인 국사편찬위원회(이하 국편)의 편사부장을 공개모집하는 과정에서 공모기준까지 바꿔가며 특정인을 선발하려 한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국사편찬위원회는 한국사 관련 사료를 수집, 편찬하는 우리나라 유일한 국립 사료편찬 기관으로 편사부장은 중고등학교 교과서 검정과 한국사 간행물 발행 등을 맡는 국편의 2인자 자리이다.

    올해 초 편사부장 자리에 대한 개방형 직위 공모절차가 진행됐지만 납득하지 못할 이유로 취소된 뒤 이달 10일에 재공모가 이뤄졌다.

    교육부와 국사편찬위원회 등에 따르면 교육부 A팀장이 올해 초 공모절차를 없애고 6월 재공모를 만든 뒤 응시자격 요건까지 바꿔가며 무리하게 지원했다는 것.

    사진자료

     


    A팀장은 지난 2012년 9월부터 약 1년간 국사편찬위원회에서 교과서 검정사업을 담당한 바 있다.

    편사부장은 줄곧 한국사 전공자가 맡아왔지만 A팀장은 교육행정학 박사 출신이다.

    실제로 6월 재공모에서는 취소된 1차 공모에서는 없었던 '교육 및 교육행정 분야'라는 응시자격 요건이 슬그머니 추가됐다.

    교육 당국 관계자는 "A팀장이 '국편의 내부 지원자 중 유력한 후보를 최종 후보 3배수에서 빼야한다'고 말하고 다닌다고 들었다"며 "교육부가 소속기관 공모에 영향력을 행사해
    자기사람을 심으려는 의도"라고 말했다.

    초등학교 교사 출신인 A팀장은 교육연구사로 교육부와 인연을 맺은 뒤 이후 교육연구관과 팀장급으로 초고속 승진했다.

    국사편찬위원회 관계자는 CBS와의 전화통화에서 "(편사부장은) 조직을 리드하고 관리하기 위해 외부 출신보다는 내부 출신이 중용됐다"며 "(응시 자격이 바뀐 것에 대해서는) 의혹이 있다는 말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국사편찬위원회는 한국사 관련 사료를 수집.연구하고 한국사 자료를 편찬하는 국가기관"이라며 "또 편사부는 그런 일들을 기획, 관리하는 곳이기 때문에 한국사 학계에 대해서 잘 아는 분이 부장직을 맡아야 한다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내정설 의혹에 휩싸인 교육부 A팀장은 "편사부장 공모에 지원을 한 것은 맞다"며 "해당 자리가 내정될 성격의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A팀장은 "내정설 얘기가 국편쪽에서 나올 수는 있겠지만 지금까지 해당 자리가 공모형 자리임에도 불구하고 국편 편사직 사람들이 '여기는 우리들만의 자리다'라는 의식을 갖고 있었다"고 해명했다. {RELNEWS:right}

    교육부는 재공모는 원칙대로 이뤄졌을 뿐이라며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교육부 관계자는 "올해 초 편사부장 공모에서 '적격자가 없다'고 외부 심사위원회에서 통보가 와 재공모가 이뤄졌다"고 말했다.

    하지만 향후 한국사 해석은 물론 중고등학교 교과서 편집 방향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 국편의 편사부장 공모가 석연찮은 이유로 취소된 데다, 1차 공모에 응하지 않았던 A팀장이 응시자격 요건이 바뀐 뒤 재공모에 지원하면서 교육부가 소속기관에 특정인을 앉히려 한다는 의혹은 계속 커질 것으로 보인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