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제왕절개 늘어, 30~34세가 분만 절반 차지



보건/의료

    제왕절개 늘어, 30~34세가 분만 절반 차지

    고령산모 증가, 20대 산모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

    임산부의 날을 맞아 산모교실에 참석한 예비엄마들이 배를 감싼 채 태교와 순산에 관련된 강의를 듣고 있다. 황진환기자

     

    고령산모의 증가 등으로 제왕절개수술 분만 비율이 다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지난해 산모 47만2747명중 36.9%가 제왕절개수술로 분만했다고 10일 발표했다.

    이는 2011년도 36.4%비교해 0.5%p 상승한 수치로 고령산모 등 위험요인 증가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전체 분만 건수 중 단순 제왕절개분만율은 상승했지만, 당뇨 및 고혈압 등 위험도 보정요인을 반영한 제왕절개분만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제왕절개분만율은 세계적으로 높은 수준이다.

    WHO 권고치인 5~15%보다 두 배 이상 높으며, OECD 국가 중에서도 높은 편으로 제왕절개분만율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심사평가원측은 밝혔다.

    35세 이상 고령산모 구성비율은 2001년 8.4%에서 21.6%로 2.5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만이 가장 많은 연령대는 30세~34세로 전체의 50.9%를 차지하였고, 35세 이상도 21.5%로 계속 증가하고 있었다.

    반면, 20~29세 산모는 ‘07년(40.0%), ’09년(35.7%), ‘11년(29.8%), ’12년(27.1%) 매년 감소하는 추세이다.

    올해 산모 전체 평균 연령은 31.6세로 전년보다 0.2세 증가하였고, 초산 평균 연령은 31.1세, 경산 평균 연령은 32.9세로 나타났다.

    연령별 제왕절개분만 구성비도 주된 출산 연령대인 30세~34세에서 49.6%로 가장 높았고, 35세~39세(23.0%), 40세 이상(4.8%) 등 35세 이상 산모에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전국에서 제왕절개분만율이 가장 낮은 지역은 광주지역으로, 평균보다 8.3%p 낮은 28.6%인 반면, 가장 높은 지역은 충남 41.7%로 지역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분만이 가능한 병원 수는 줄어 열악한 상황을 반영했다.

    산모 수는 2011년에 비해 1만1,321명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분만 기관수는 38곳 감소했다.

    심사평가원은 의료기관별 제왕절개분만율의 적정화를 도모하고자 가감지급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