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안철수 정치세력화 선언에 與野 정치권 긴장하나



국회/정당

    안철수 정치세력화 선언에 與野 정치권 긴장하나

    與"꼼수정치 그만" 野"야권분열 경계"

    안철수 무소속 의원이 28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새 정치에 대한 의지를 밝히며 가칭“국민과 함께하는 새정치 추진위원회”의 출범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28일 무소속 안철수 의원이 공식적인 정치세력화 추진 선언에 대해 여야 정치권은 견제구를 날렸다.

    여야는 황찬현 감사원장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새누리당의 단독 소집으로 국회 인사청문특위를 통과한 이후 강창희 국회의장과 상정 여부를 놓고 계속 대립하고 있으면서도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세력화를 공식 발표한 안 의원에 신경을 쓰는 모습을 보였다.

    새누리당은 안 의원의 기자회견이 시작되기 전부터 대해 비판을 가했다.

    새누리당 최경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안 의원이 도대체 창당한다는 것인지 아닌지 국민 혼란만 부추긴다"면서 "그동안 새정치의 비전을 못보이고 소위 친야권연대 속에서 모호한 태도를 보여왔다"고 지적했다.

    최 원내대표는 특히 "직접 링위에 올라서고서도 관전자처럼 시간을 보내고 있다"면서 "더이상 국민을 상대로 뜸들이며 눈치 보는 간보기 정치, 평론가 정치, 훈수 정치는 그만하길 바란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을 위해 무엇을 준비하는지 확실히 보여 국민의 동의를 구하는 정도 정치를 바란다"며 "꼼수정치는 더 이상 하지 말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정우택 최고위원도 "이번 기자회견에서 새정치세력이 무엇을 할 것인지 제대로 밝혀서 트레이드마크인 애매모호 낙인에서 어느 정도 벗어날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정치권에 새바람이 불기를 바라는 국민의 기대를 이용해 여론몰이를 해왔다는 비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면서 "기대에 비해 정치력 한계가 빨리 드러났고 명확한 방향성과 계획이 없었기 때문에 오늘 기자회견마저 명확하지 않으면 안 의원은 국민의 간만 보는 정치인"이라고 비난했다.

    민주당을 비롯한 야권은 새누리당에 비해 견제의 수위는 훨씬 낮았다. 그러나 안 의원의 새정치추진위원회의(이하 새정치추진위) 출범선언으로 야권이 분열되는것을 경계했다.

    안철수 무소속 의원이 28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새 정치에 대한 의지를 밝히며 가칭“국민과 함께하는 새정치 추진위원회”의 출범 기자회견을 마친 뒤 취재진에 둘러싸여 있다. 사진=윤창원 기자

     

    야권은 우선 안 의원의 새정치추진위의 출범 선언에 대해 공식적으로 환영 입장을 밝히며 협력 필요성을 강조했다.

    민주당 배재정 대변인은 현안 브리핑을 통해 "안 의원의 세력화가 결과적으로 우리나라 정치발전에 기여하길 바란다"면서 "앞으로 시간을 두고 준비해 국민을 실망시키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는데 이 점을 지켜보겠다"고 밝혔다.

    "국민과 함께 하는 정치를 위해 '정도'를 걷겠다는 자세를 보여주길 바란다"는 조언도 잊지 않았다.

    배 대변인은 다만 "안 의원의 세력화가 자칫 새누리당에게 어부지리를 안겨주는 결과로 이어져선 안 될 것이라는 점을 말씀드린다"면서 "지금 청와대와 집권 여당은 불법적인 국가기관 대선개입에 대해 어떠한 책임 있는 태도도 보이지 않고 있다"고 민주당과의 연대를 압박했다.

    정의당도 안 의원의 정치세력화 선언을 환영하며 경쟁적 협력관계를 강조했다.

    천호선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상무위원회를 열고 "모쪼록 새정치를 위한 선의의 경쟁이 뺄셈의 정치가 아닌 서로의 혁신을 촉진하고 분발시키는 덧셈의 정치가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심상정 원내대표 역시 논평에서 "새정치에 대한 책임을 짊어지고 장도에 나서는 안 의원이 첫걸음을 뗀 것을 환영하며 성공을 기원한다"면서 "우리 서민들의 땀에 젖은 삶의 현장에서 복지국가와 평화통일을 향한 길에서 경쟁적 협력관계를 이뤄나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