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北 김계관 "우리는 조건 없이 대화를 하자는 것“



경제정책

    北 김계관 "우리는 조건 없이 대화를 하자는 것“

    한미일 요구에 첫 공식반응 "비핵화 사전조치는 수용불가, 협상은 가능"

     

    북한 김계관 외무성 제1부상이 비핵화 대화에 나설 뜻이 있음을 밝혔다. 그러나 한국· 일본· 미국이 요구하는 비핵화 사전 조치 요구는 수용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 ·미· 일의 비핵화 사전 조치요구에 처음 입장 표명을 했다는 점에 의미가 있다.

    김 부상은 18일 중국 외교부 산하 국제문제연구소 주최로 베이징에서 열린 ‘6자회담 10주년 기념 국제 토론회’ 기조 연설에서 “우리는 조건없이 대화를 하자는 것이다. 대화에 전제 조건을 다는 것은 불신을 야기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대화가 재개되기도 전에 우리보고 먼저 움직이라는 것은 9.19 공동성명 합의 정신에도 맞지 않는 부당한 요구"라고 강조했다.

    비핵화 사전 조치요구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이다.

    하지만 김 부상은 "조선반도(한반도) 비핵화는 위대한 대원수님들의 유훈이고 우리 공화국의 정책적 목표"라며 비핵화 협상에 나설 뜻이 있음을 밝혔다.

    그는 북핵 문제가 해결되려면 북한의 체제 안전 보장 등의 다른 문제도 동시에 해결돼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김 부상은 "조선반도(한반도) 비핵화는 우리만의 노력으로 실현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고 그 하나만 추구한다고 해서 실현될 문제도 아니다"라며 "조선반도 비핵화가 실현되자면 9.19 공동성명의 각 목표를 균형적으로 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중국도 6자회담 조기 재개의 필요성을 주장했다.

    왕이(王毅) 외교부장은 개막사에서 "조기에 6자회담을 재개, 반도의 핵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관련국들은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여건 조성에 함께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왕 부장은 "6자회담 10년의 역사가 증명하듯 관련국들이 대화와 협상을 할 때는 반도의 정세가 기본적으로 안정됐고, 6자회담이 중단된 때는 반도의 긴장이 높아지고 심지어 위험에 빠지기도 했다"고 지적했다.

    왕 부장은 "6자회담은 관련국 간 소통과 관계 개선의 중요한 틀"이라며 각국이 지도자 회동 등을 통해 6자회담을 시스템화하고 구속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왕 부장은 6자회담 조기 재개의 필요성에 대해 북한과 뜻을 같이한 반면 북한의 비핵화 필요성에 대해서는 북한에 대해 강한 어조로 입장 표명을 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