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日서 거부당한 세균 식품들, 우리 아이 식탁에



보건/의료

    日서 거부당한 세균 식품들, 우리 아이 식탁에

    일본 부적합 판정 받은 식품들 절반, 국내에 유통

    사진=이미지비트 제공

     

    최근 식품 안전에 대한 국민적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일본에 수출됐다가 부적합 판정을 받은 국내업체의 식품이 급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이중 절반은 국내 시장에 버젓이 유통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재원 의원(경북 군위ㆍ의성ㆍ청송)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0년부터 올해 3월까지 일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국내업체의 식품 수는 총 19건이었다. 수산가공식품은 13건으로 68%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지난 2010년 1건에 불과했던 부적합 판정 식품은 2011년 2건, 2012년 11건으로 최근 3년간 10배 이상 증가했고 올해도 3월까지 벌써 5건의 식품이 일본에서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이들 19건의 부적합 판정 식품은 곰팡이, 대장균, 폴리소르베이트80, 소르빈산칼륨 등이 일본의 세균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돼 전량 반송되거나 폐기처리됐다.

    그럼에도 이중 47%인 9건의 식품은 국내 시장에서 유통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일본에서 먹을 수 없다고 판정한 식품을 대신 국내에 내다팔고 있는 것이다,.

    이들 제품은 고로케와 가공우유, 참이, 잡채와 젓갈, 무말랭이 등으로 어린이용 간식과 반찬으로 즐겨먹는 식품들이다.

    김재원 의원은 “일본의 식품안전 기준치를 초과해 부적합 판정을 받은 식품이 국내에서는 버젓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데도, 식약처가 이에 대해 아무런 사후관리도 하지 않고 있고 국내 유통 여부에 대해서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최근 일본산 수산물의 방사능 오염 위험으로 국민들의 식품 안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데, 식약처는 국내식품 안전관리 프로세스를 재점검하는 등 대책을 적극 강구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