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중산층, 벌어도 벌어도 적자…5집 가운데 1집 '적자 살림'



경제정책

    중산층, 벌어도 벌어도 적자…5집 가운데 1집 '적자 살림'

    핵심요약

    4분위 적자 가구 비율 18.2%, 3분위도 17.1%
    고물가·고금리 장기화 속에 소득은 그만큼 늘지 않아

    연합뉴스연합뉴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정도는 번 돈보다 쓴 돈이 많은 '적자 살림'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전체 가구 중 적자 가구의 비율은 26.8%로 집계됐다. 1년 전 26.7%와 비교하면 0.1%p 늘어난 규모다.

    적자 가구 비율은 가구의 처분가능소득(소득에서 세금·사회보험료 등 비소비지출을 뺀 값) 보다 소비지출이 많은 가구의 비중이다.

    소득 분위별로 보면 상위 20~40%인 4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은 1년 전보다 2.2%p 늘어난 18.2%로 나타났다. 소득 상위 40~60%인 3분위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17.1%였다. 중산층 가구 5집 중 1집 가까이가 적자 살림을 했다는 의미다.

    고소득 가구의 적자 가구 비율도 증가했다. 소득 상위 20% 이상인 5분위 가구 역시 적자 가구 비율이 1년 전보다 0.5%p 증가한 9.4%로 집계됐다.

    이같이 중산층과 고소득층 가구의 '적자 살림 증가'는 고금리·고물가 장기화와 부진한 소득 증가 때문으로 풀이된다. 높은 물가와 금리로 가계의 소비와 이자 비용 등 지출은 늘었지만, 소득은 그 만큼 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실제 올 1분기 월평균 가계지출은 1년 전보다 9만9000원(2.5%), 이자 비용은 1만4000원(11.2%) 각각 증가했다. 반면 가계 소득은 6만8000원(1.4%) 늘어나는데 그쳤다. 특히 근로소득은 3만5000원(1.1%) 줄었다.

    3·4분위 가구의 경우 지출은 각각 5.9%, 4.5% 늘었지만 소득은 그에 못미치는 각각 5.4%, 2.7% 늘며 적자폭이 커진 것으로 분석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