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학력평가' 과탐 응시생 줄어…"의대 수시, '수능 최저등급 충족' 변수로"



교육

    '학력평가' 과탐 응시생 줄어…"의대 수시, '수능 최저등급 충족' 변수로"

    핵심요약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 "과학탐구에서 수능 최저 미충족, 상당히 늘어날 수 있어"

    연합뉴스연합뉴스
    올해 두 차례 치러진 시도교육청 주관 전국연합학력평가(학력평가)에서 고등학교 3학년의 과학탐구 응시생 비율이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탐구 과목 응시생이 줄면 1등급 인원도 축소되기 때문에 과학탐구 응시생 감소가 연쇄적으로 최상위권인 의대 지원 수험생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26일 종로학원에 따르면, 5월 학력평가에서 고3 과학탐구 응시생 비율은 고3 전체 탐구 응시자 중 44.1%로, 문·이과 통합 수능이 도입된 2022학년도 이후 최저였다. 지난해 47.9%에서 3.8%p 하락했다. 3월 학력평가에서도 고3 과학탐구 응시생 비율은 지난해 47.2%에서 올해 44.9%로 하락했다.
     종로학원 제공종로학원 제공
    수학 영역에서도 5월 학력평가에서 이과 과목으로 분류되는 미적분과 기하 선택 비율이 지난해 48.4%에서 올해 47.7%로 하락했다. 3월 학력평가에서 두 과목을 선택한 응시생 비율은 46.1%로 지난해와 같았다.
     
    과학탐구 응시생이 줄어든 것은 이과계열 대학으로 진학할 때 사회과목 선택을 허용하는 대학이 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서울 주요대는 아직 과학탐구에 가산점을 적용하고 있어서 이 같은 '과학탐구 이탈 현상'은 중하위권을 중심으로 나타난다고 종로학원은 분석했다. 
     
    다만,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도 고3의 과학탐구 응시가 줄어들 경우 의대를 목표로 하는 이과 최상위권 수험생들의 수능 최저등급 확보가 어려워져 불리해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수능 1등급은 응시생의 4%, 2등급은 11%로 정해져 있기 때문에 중하위권 수험생들이 과학탐구에서 사회탐구로 전환하면 과학탐구 1·2등급 인원이 줄어들기 때문이다.
     
    특히 의대 모집정원이 2025학년도에 대폭 확대된데다, 지역인재전형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비수도권 최상위권 수험생의 수능 최저 충족 여부는 2024학년도보다 더 중요해졌다.
     종로학원 제공종로학원 제공
    2025학년도 비수도권 26개 의대(일반전형 기준)에서는 수시모집 지역인재전형으로 뽑는 801명 중 773명(96.5%)에게 수능 최저 등급을 적용한다고 지난해 4월 말에 발표한 바 있다.
     
    가장 기준이 높은 대학은 수능 4개 영역의 등급 합이 5등급 이내여야 한다고 규정했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과학탐구에서 수능 최저 미충족이 상당히 늘어날 수 있다"며 "수험생들은 최종 발표되는 2025학년도 모집 요강에 따라 의대 수능 최저 기준이 어느 전형에 적용되는지, 기준이 어떻게 변화되는지를 확인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