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경남 산단 조성 가능한 43곳 발굴…기업 원하는 입지 공급한다



경남

    경남 산단 조성 가능한 43곳 발굴…기업 원하는 입지 공급한다

    경남도, 산업단지 조성 종합계획 수립
    동북·서남·서북 3개 권역 육성 전략 설정
    개발 가능 43곳 중 5곳은 미래첨단산업 등 개발 계획안까지 수립

    고성군 양촌·용정일반산업단지. 경남도청 제공고성군 양촌·용정일반산업단지. 경남도청 제공
    경상남도는 기업이 원하는 산업입지 공급 기반을 마련하고자 개발 가능 용지와 개발 구상안 등을 담은 '산업단지 조성 종합계획'을 수립했다고 8일 밝혔다.

    지난해 4월 해당 용역에 착수한 경남연구원 등은 1년 만에 용역을 마무리했다.

    도의 종합계획을 보면, 도내 산업 권역을 동북권(창원·김해·밀양·양산·함안·창녕), 서남권(진주·사천·통영·고성·남해·하동), 서북권(의령·산청·함양·거창·합천) 등 3곳으로 구분해 권역별 특색에 맞는 산업 중심의 발전 전략이 제시됐다.

    동북권은 부산·울산과 협력해 신산업 유치, 물류·항만과의 연계를 강화한다. 서남권은 전남 광양의 부품산업과 연계해 진주·사천을 중심으로 우주항공 기능을 강화한 산업 성장 기반을 구축한다. 서북권은 전북 무주 농촌산업과 연계한 농업·농촌 발전 기반을 만든다.

    산업별로는 주력산업, 첨단산업, 스마트 농·수산업 등 3개로 구분했다.

    주력산업인 기계산업, 자동차산업, 조선·해양산업, 방위·원자력산업은 고도화를 추진하고, 첨단산업인 나노융합산업, 항노화·바이오산업, 우주항공산업, 수소산업, 반도체산업, 이차전지산업은 신산업으로 육성한다.

    스마트 농·수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 전환을 위해 6차 산업화를 추진하는 것을 육성 전략으로 삼았다.
     
    동북권은 방위·원자력·수소·첨단의료·물류·나노를, 서남권은 우주항공 특화·첨단방위·조선산업을, 서북권은 항노화·바이오헬스·승강기 등을 미래에 육성할 산업으로 꼽았다.

    산업단지 개발이 가능한 후보지 51곳 중 물리적 입지 여건을 분석해 8곳을 제외하는 등 입지 적정성, 실현 가능성을 평가해 43곳을 최종 발굴했다.

    도는 개발이 가능한 43곳의 미래 개발 방향과 행정 규제 사항을 분석해 개발 구상안을 수립했다. 이 중 창원(방위원자력·수소), 김해(첨단의료·반도체), 밀양(나노), 진주·사천(우주항공) 등 5곳은 미래첨단산업과 주력산업을 고려해 토지이용·유치업종 계획, 추정 사업비 등 단계별 개발 계획안까지 마련했다.

    경남도 곽근석 도시주택국장은 "도가 선제적으로 발굴한 개발 가용지는 시군과 공유해 앵커기업 유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겠다"며 "특히 개발 계획까지 수립한 개발 가용지는 향후 국가산단 등 정부 공모사업에 즉각 대응이 가능하도록 체계적으로 관리하겠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