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초·중·고생 1.9%' 학교폭력 당해…10년만에 최고치



교육

    '초·중·고생 1.9%' 학교폭력 당해…10년만에 최고치

    핵심요약

    언어폭력, 신체폭력, 집단따돌림 순으로 많아
    언어·사이버 폭력 비중 줄었지만, 신체폭력은 증가


    올해 학교폭력을 당했다고 응답한 초·중·고생 비율이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교육부는 전북을 제외한 16개 시·도 교육청이 지난 4월 10일~5월 10일 초4~고3 학생 317만명(전체 384명 중 82.6%)을 대상으로 온라인으로 '2023년 1차 학교폭력 실태 전수조사'를 실시한 결과, 피해 응답률이 1.9%(5만9천명)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이는 지난 2013년 1차 조사때 2.2%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올해 피해 응답률은 2022년 1차 조사 대비 0.2%p, 코로나19 확산 이전에 실시된 2019년 1차 조사 대비 0.3%p 높다.
     교육부 제공 교육부 제공
    학교급별 피해 응답률은 초등학교 3.9%, 중학교 1.3%, 고등학교 0.4%로 모든 학교급에서 지난해 1차 조사에 비해 각각 0.1%p, 0.4%p, 0.1%p 증가했다.
     
    피해유형(복수응답)별로 보면 언어폭력을 당했다는 응답자가 37.1%로 가장 많았고, 이어 신체폭력(17.3%)과 집단따돌림(15.1%) 순이었다. 지난해 1차 조사에 비해 언어폭력(41.8%→37.1%)과 사이버폭력(9.6%→6.9%)의 비중은 줄었지만, 신체폭력(14.6%→17.3%) 비중은 늘었다. 
     
    집단따돌림, 사이버폭력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높게, 스토킹과 신체폭력은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가해자 유형(복수응답)은 '같은 학교 같은 반'이 48.3%, '같은 학교 같은 학년'이 30.5%로 동급생이 78.8%를 차지했다. 
     
    피해장소(복수응답)는 '교실 안'이 29.0%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복도·계단(17.7%)', '운동장·강당 등(10.4%)' 순이었다. 피해시간(복수응답)은 '쉬는 시간'이 31.2%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점심시간(19.2%)', '하교 이후(14.6%)' 순이었다.
     
    피해사실을 알린 사람(복수응답)으로는 '보호자나 친척'이 36.8%로 가장 많았고, 이어 '선생님(30.0%)', '친구·선후배(14.9%)' 순이었다. 피해미신고 비율은 7.6%였는데 그 이유로는 '별일이 아니라고 생각해서(28.7%)', '이야기해도 소용없을 것 같아서(21.4%)', '스스로 해결하려고(20.0%)' 등의 순이었다. 
     교육부 제공교육부 제공
    학교폭력 가해응답률은 1.0%로 지난해 1차 조사에 비해 0.4%p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2.2%, 중학교 0.6%, 고등학교 0.1%로 조사됐다. 초등학교는 0.9%p, 중학교는 0.3%p 증가했고, 고등학교는 비슷했다.
     
    가해 이유(복수 응답)로는 '장난이나 특별한 이유 없이(34.8%)'가 가장 많았고, 이어 '피해 학생이 먼저 괴롭혀서(25.6%)', '피해 학생과의 오해와 갈등으로(12.1%)' 등의 순이었다. 
     
    학교폭력 목격응답률은 4.6%로 지난해 1차 조사에 비해 0.8%p 증가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7.9%, 중학교 4.4%, 고등학교 1.2%로 조사돼, 각각 0.6%p, 1.5%p, 0.4%p 증가했다. 
     
    목격 후 행동으로는 '피해를 받은 친구를 위로하고, 도와줌(33.9%)', '때리거나 괴롭히는 친구를 말림(17.5%)', '가족, 선생님, 학교전담경찰관 등 주위에 알리거나 신고함(16.9%)' 순이었다.
     
    김연석 책임교육정책실장은 "학교폭력 실태조사 기간에 학교폭력 사안 연속보도, 드라마 등으로 사회적 이슈로 부상함에 따른 높은 관심도 등이 피해응답률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면서 "이번 실태조사 결과를 기점으로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 등 다양한 제도개선 방안의 성과가 나오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조사항목을 '인식도 조사'에서 '현황 조사'로 변경하는 방안에 대해, 현장과 소통하면서 어떻게 하는 게 좋을지 고민해 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이번 실태조사 기간에 '학교폭력 근절 종합대책'을 발표(4월 12일)한데 이어 10월에는 '학교폭력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 개정을 완료했다. 또한 지난 7일에는 학교폭력 조사 업무를 전직 경찰관 등 전담 조사관이 맡도록 하는 내용을 담은 '학교폭력 사안처리 제도 개선 및 학교전담경찰관(SPO) 역할 강화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