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경기도청 5월 30일 '광교 신청사' 시대 공식 개막



경인

    경기도청 5월 30일 '광교 신청사' 시대 공식 개막

    4월 중순부터 주말 등 순차 이전
    체계적 이전, 업무 공백 최소화

    경기도청 수원 광교 신청사 전경. 경기도청 제공경기도청 수원 광교 신청사 전경. 경기도청 제공경기도청이 55년 간의 수원 팔달산 시대를 마치고 오는 5월 30일 광교 신청사로 공식 이전한다.

    14일 경기도는 다음달 14일부터 5월 29일까지 매주 목요일~일요일, 7차례에 걸쳐 이전 작업을 진행해 5월 30일부터 신청사 근무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도는 청사 이전이 5톤 트럭 526대에 달하는 물량을 옮기는 작업인 만큼 △재난상황 관리를 고려한 분산 이전 △신속하고 체계적인 이전으로 업무 공백 최소화 △안전사고 예방 등을 기본 원칙으로 정했다.

    문서 훼손을 비롯한 보안사고를 막기 위해 기록물 10만여 권을 사무실 집기와 별도 이전할 계획이다.

    광교 신청사 융합타운은 연면적 16만 6천여㎡, 지하 4층·지상 25층 규모로 경기도청과 경기도의회 청사 등이 함께 들어섰다.

    도는 사업비 4708억 원을 들여 지난 2017년 9월 착공한 뒤 지난해 11월 준공했다. 경기도의회는 올해 1월부터 이전해 2월 7일 정식 개청했다.

    경기도지사실은 5층에 위치해 있으며, 2층은 재난안전상황실, 25층에는 다목적홀과 옥상정원 등이 배치됐다.

    업무 효율성을 고려해 실‧국 소속 부서는 최대한 같은 층에 조성됐고, 특별사법경찰단의 조사실과 수사자료 보관실 등 특수시설도 관리 부서 인접한 곳에 마련됐다.

    코로나19 등 감염병 예방을 위해 손 씻는 공간을 층별 6곳 등에 추가 설치하고 환기 시설도 확충했다.

    수원 광교 신청사로 이전한 이후 지금의 경기도청 부지(수원시 팔달구)에는 경기도기록원과 통합데이터센터가 조성되고, 건설본부 등 일부 부서와 도에서 설립한 17개 센터가 입주할 예정이다. 팔달구 청사는 10개동, 연면적 5만 4천여㎡ 규모다.

    서울 광화문 경기도청사에서 1967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팔달산 자락으로 둥지를 튼 현 경기도청사는 건축문화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2017년 8월 국가 등록문화재로 등록됐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