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우리 비판하면 백신 안 줘"…中, 우크라이나 압박 성공



아시아/호주

    "우리 비판하면 백신 안 줘"…中, 우크라이나 압박 성공

    우크라이나 신장 관련 유엔 공동성명에 참여
    中 안 빠지면 백신 50만 회 공급 중단 '압박'
    우크라이나 결국 공동성명 참여 철회
    AP "건강,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압력"

    유엔 인권이사회 모습. 연합뉴스

     

    코로나19 백신을 전 세계에 지원하면서 영향력을 확대해 온 중국이 '백신의 무기화'를 현실화하는 모양새다.

    26일(현지시간) AP통신에 따르면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 인권이사회에 참석하고 있는 중국은 우크라이나에 유엔 인권최고대표의 신장 지역에 대한 즉각적인 접근을 허용하라고 촉구한 공동성명을 지지하지 말라고 압력을 가했다.

    중국은 그렇지 않으면 우크라이나로 향하는 자국 백신 시노백 50만 회 분량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크라이나는 중국으로부터 190만 회 분량의 백신을 공급받기로 했는데 지난 5월초에 120만 회를 지원 받았고 70만 회가 아직 남아 있다.

    익명을 요구한 두 명의 서방 외교관들은 AP통신에 중국의 압력 이후 우크라이나가 25일 공동성명 지지국가에서 이름을 뺐다고 말했다.

    앞서 미국과 영국, 독일 등 40여 개 국은 22일 캐나다 주도로 유엔 인권최고대표의 신장 위구르 자치구에 대한 즉각적인 접근을 중국에 촉구하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이 공동성명에는 처음에 41개국이 이름을 올렸다가 4개국이 추가돼 우크라이나가 45번째로 이름을 올렸지만 다시 우크라이나가 빠짐으로써 44개국이 됐다.

    중국은 이에 맞서 자신들에게 우호적인 아프리카와 중앙아시아와 중남미 국가 등 64개국을 조직해 신장 문제는 중국의 내정이라는 공동성명을 발표했다.

    AP 통신은 외교관들을 인용해 중국이 국제무대에서 자국에 비판적인 성명에 가담하지 말라고 압력을 가하는 것은 낯선 일이 아니라면서도 (백신을 무기화했기 때문에) 이번 압력은 건강, 심지어 생명을 위협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중국 매체들은 이런 과정에 대한 설명 없이 우크라이나가 공동성명을 철회한 부문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러시아 외무부가 24일 저녁 중국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중요시하고 중국 내정에 대한 불간섭 방침을 재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한 뒤 이튿날 우크라이나 대표단이 서방 개별국가가 발의한 신장인권 관련 공동 성명 동참을 철회했다고 보도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