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중국발 미세먼지 오염원 추적해 가려낸다



IT/과학

    중국발 미세먼지 오염원 추적해 가려낸다

    한국원자력연구원, 미세먼지 내 방사성 물질 이용한 오염원 추적 기술 개발
    미세먼지 국내외 기여도 정확한 측정 가능

    미세먼지. 박종민 기자

     

    국내 연구진이 더 객관적으로 미세먼지를 구분·평가해 그 오염원을 추적할 수 있는 기술을 내놨다.

    중국발 미세먼지를 추적하는 데 기여할 전망이다.

    21일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미세먼지 내에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방사성 물질을 분석해 해당 미세먼지의 오염원을 추적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등록까지 마쳤다.

    김지석 박사 연구팀이 개발한 이 기술은 미세먼지 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방사성 물질에 주목한다. 미세먼지 내 방사선량 변화를 측정하고 해석해 극미량의 방사성 물질을 분석한 뒤 이들을 마커(표지자)로 활용하는 방식이다.

    중국발 미세먼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방사성 마커와 한국 미세먼지에서 주로 발견되는 방사성 마커를 발굴해 검증하고 오염원을 역추적할 수 있다.

    연구팀은 미세먼지 안에 존재하는 원소 60여 종 가운데 극미량으로 존재하는 5종류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측정하고 이중 마커가 될 베릴륨-7(Be-7), 납-214(Pb-214), 납-212(Pb-212) 등 세 종류의 방사성 동위원소를 찾아냈다.

    베릴륨-7(Be-7)은 주로 성층권에서 생성되는 물질로 다양한 먼지와 함께 지상으로 내려오는 경로를 보인다. 중국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의 상당수는 장거리 이동을 위해 높은 고도에서 부유하다 내려오기 때문에 베릴륨(Be-7)을 다량 함유할 것으로 예상한다.

    반면 지각에서 가스 형태로 발생하는 납-214(Pb-214)와 납-212(Pb-212)은 짧은 반감기 때문에 장거리 이동이 어려워 국내 발생 미세먼지에만 포함돼 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밖에 이 기술로 미세먼지에 포함되며 짧은 반감기를 갖는 핵종과 장 반감기 핵종의 비율, 국내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기타 방사성 물질을 분석하면 중국발 미세먼지를 더욱 폭넓게 해석할 수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기대하고 있다.

    연구팀이 미세먼지 측정소에서 미세먼지를 포집해 시료를 확보하고 있다. 한국원자력연구원 제공

     

    원자력연구원은 이 기술을 이용해 서울과 대전에 독자적인 미세먼지 측정소를 구축해 운영 중이다. 측정소에서 포집한 미세먼지 내에 포함된 다양한 물질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각각의 물질을 분석해 미세먼지의 기원을 정확히 밝힐 계획이다.

    김지석 박사는 "명확한 증거를 기반으로 미세먼지 오염원을 분석해 더욱 효과적인 미세먼지 해법을 제시하겠다"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