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코로나19로 휴가 후 격리 중 병사에 '부실식사' 제공 논란



사회 일반

    코로나19로 휴가 후 격리 중 병사에 '부실식사' 제공 논란

    추석 연휴 제공된 도시락, 양질 부족해 보여
    "코로나19 격리는 의료적 조치이지 방치 아냐"

    한 육군 부대에서 추석 연휴 기간 코로나19로 인한 격리대상자들에게 제공된 식사. 우측 하단이 추석 당일 점심 도시락. (사진=군인권센터 제공)

     

    한 육군 부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을 위해 휴가 후 격리 중인 병사들에게 부실한 식사를 제공하고 있다는 폭로가 나왔다.

    2일 군인권센터는 보도자료를 통해 "육군 제36사단에서 코로나19 예방 목적으로 휴가 후 집단 격리 중인 병사들에게 부실한 식사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군인권센터에 따르면 병사들의 추석 연휴 당일 점심 도시락에는 밥과 불고기, 깍두기, 양상추, 쌈장 등이 담겼다. 반찬 수도 적어 보이고, 전체적인 양도 매우 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군인권센터는 "양과 질에서 문제가 있어 보인다"면서 "부대에서 제공되는 급식을 도시락 통에 담아서 제공한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다면 전반적인 병사 급식의 질이 2020년 현재에도 이렇게 부실한 것인지 점검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취사병들이 적은 수로 많은 인원을 담당하다 보니까 업무량이 많다"며 "연휴 등을 고려해 코로나19 격리자들에게도 원활하게 배식할 수 있도록 다른 방식을 강구했어야 한다. 코로나19로 인한 격리는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한 의료적 조치이지, 방치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국방부는 이번 기회에 전군 격리 인원의 의식주 보장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점검을 실시하고, 단순한 공간 격리 지침뿐 아니라 인원들이 격리된 가운데서도 제대로 된 생활이 가능하도록 가이드라인을 명확히 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병사 급식비가 매년 오르는데도 식사의 질은 오르지 않는다는 지적도 나왔다.

    군인권센터는 "병사 1인 기준 1일 3식 급식비는 해마다 올라서 2017년 기준 7480원에서 2020년 8493원으로 13% 가까이 올랐다"면서 "그러나 저렴한 조달 단가 중심의 급식비 산정, 조리 인력 부족 등 군인 급식의 질 담보와 직결된 문제에 대한 접근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양질의 의식주 보장은 가장 기초적인 장병 기본권 문제로 국방의 의무를 대하는 국가의 태도와 직결된다"라며 "장병 의식주 문제에 있어 예산 확보뿐 아니라 현장 실태와 보급 지원 환경 등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과 개선 노력이 동반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