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미국, 화웨이 제재 본격화…中 반도체굴기도 '흔들'



기업/산업

    미국, 화웨이 제재 본격화…中 반도체굴기도 '흔들'

    (사진=연합뉴스)

     

    미국의 중국 화웨이에 대한 제재가 현실화되면서 국내 반도체 업계도 적잖은 영향을 받게 됐다. 다만 장기적인 측면에선 삼성전자, SK하이닉스가 화웨이가 아닌 다른 거래처로 포트폴리오를 재편하고 나면 곧 충격파를 흡수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더 급한 쪽은 아무래도 중국이다. 이번 제재로 화웨이, 더 나아가 중국의 '반도체 굴기'까지 흔들릴 수 있다는 관측마저 제기된다.

    먼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를 비롯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은 오는 15일부터 화웨이에 반도체 공급을 사실상 중단한다.

    지난달 17일 미 정부는 화웨이 추가 제재안을 발표하며 "제3국 반도체 업체라도 미국의 소프트웨어와 기술·장비를 사용했을 경우, 화웨이에 납품하려면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고 말했다.

    반도체는 사실상 원천 기술을 가진 미국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서는 생산이 불가능해, 미국의 제재안은 화웨이로의 반도체 공급을 원천봉쇄하겠다는 의지가 담긴 것이다.

    화웨이는 한국 메모리 반도체 업계의 주요 고객이었던만큼 공급 중단이 장기화될 경우 국내 기업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하지만 장기적 측면에서는 큰 영향은 없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단기적으로 충격이 올 수 밖에 없지만, 메모리 업체들이 화웨이가 아닌 다른 거래처로 고객을 다변화하고 나면 충격파를 흡수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메모리 반도체 외에 파운드리와 스마트폰 등 세트사업을 병행하는 삼성전자에게는 이번 제재가 오히려 '기회'가 될 수 있다는 예측도 나온다.

    화웨이는 쌓아둔 반도체 재고가 소진되면 향후 스마트폰 생산에 차질이 생길 수 밖에 없고, 승승장구하던 5G통신 장비 사업도 미국의 견제에 발목에 잡힌 상태다. 실제 삼성전자는 최근 미국 통신 1위 업체인 버라이즌과 8조원대 5G 통신장비 계약을 맺기도 했다.

    파운드리 시장에서도 최근 미국이 중국의 파운드리 기업 SMIC 제재를 검토하면서 삼성전자가 반사이익을 누릴 가능성도 커졌다.

    앞서 중국은 지난 2015년 전국인민대표회의에서 '중국제조 2025'라는 산업계획을 발표했다. 이중 한 분야가 '차세대 정보기술'인데, 중국 정부는 2025년까지 자국 반도체 산업의 기술 자급률을 최소 70%까지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SMIC 등 자국의 여러 반도체 기업들을 전폭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움직임에는 다 이유가 있다. 중국은 세계 반도체 매출의 30% 이상을 차지하는 반도체 최대 수입국이다. 거대 IT 기업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화웨이 같은 세계 최대 규모의 스마트폰 제조사도 보유하고 있는 세계 IT 강국인 것이다.

    하지만 여전히 IT 생태계의 기반이 되는 부품과 개발 툴은 서방 국가에 의존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런데 미국이 원천기술을 가지고 있는 반도체를 무기삼아 본격적인 제재에 나서고 있어 중국은 말그대로 '속수무책'인 상황에 빠져들고 있다.

    업계에서는 메모리 반도체 분야의 경우 중국이 한국과 비교해 기술격차가 3~10년 정도 뒤처져 있다고 보고 있다.

    사실상 메모리는 용량 그 자체보다는 응용 프로그램과 사용자들로 인해 가치가 유지되는 것이어서 대규모 자금 투입만으로 현재의 격차를 순식간에 좁혀나가기가 쉽지 않다. '방향성'없는 기술력은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이다.

    반도체 설계의 경우 모바일 시장에서는 중국이 이미 상당한 수준에 올라와 있다. 화웨이의 자회사인 하이실리콘은 이미 Kirin(기린)이라는 자체 AP를 가지고 있을 정도다.

    다만 하이실리콘은 삼성전자, 퀄컴과는 달리 자체 ARM 코어 설계를 만들지 않고, 미국 기술 기반의 ARM이 제공하는 코어 설계를 사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이는 아직 중국 팹리스들이 고성능 로직을 자체 설계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다.

    파운드리는 더욱 힘든 상황이다. SMIC가 세계 5위에 랭크돼 있지만 1,2위인 대만의 TSMC와 삼성전자와의 '갭(gap)'이 크다.

    TSMC와 삼성전자가 치열한 '초격차 기술력 경쟁'을 하고 있는만큼 중국 파운드리도 곧 선택을 강요당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파운드리 제패를 위해 대규모 장비 투자 및 고객 확보에 나서 1,2위 업체들과 진검승부를 펼치거나, 아니면 지금처럼 내수에 의지하면서 글로벌 파운드리 주변부에서 명맥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미국의 제재가 본격화되면 사실상 '승부수'조차 꺼내지 못하게 돼, 글로벌 IT 산업의 핵심부에는 접근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이처럼 수입도 막히고 자체 생산도 어렵게 돼 반도체의 조달 자체에 문제가 생긴다면, 중국의 다른 첨단산업에까지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한편, 화웨이도 '자구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외신 등에 따르면 화웨이는 최근 구글 안드로이드 대신 독자 개발한 운영체계(OS)를 쓰기로 했다고 밝혔다.

    화웨이가 독자 개발한 OS, 훙멍은 스마트폰에서부터 TV, 컴퓨터, 웨어러블 기기 등 다양한 제품에 쓰일 수 있다.

    화웨이가 스마트폰에 훙멍을 도입키로 한 것은 미중 무역 분쟁이 단기간에 끝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해, 미국 중심의 안드로이드 생태계에서 벗어나겠다는 의지를 나타낸 것으로 해석된다.

    다만 전문가들은 유튜브와 지메일 등 구글 앱을 당연시하는 글로벌 시장에서 훙멍이 안드로이드를 대체할 수 있을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