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故 김용균 1주기…단 하나도 변하지 않아"



대전

    "故 김용균 1주기…단 하나도 변하지 않아"

    故 김용균 노동자 1주기 앞두고 충청권 노동단체 결의대회
    "개정 산업안전보건법은 '김용균 없는 김용균법'"
    "죽지 않고 일하게 해 달라는 외침 왜 듣지 않는 것이냐"
    특조위 권고 이행, '위험의 외주화' 금지 등 촉구

    2일 오후 대전고용노동청 앞에서 열린 규탄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죽음의 일터로 또 밥벌이 갈 수 없다', '김용균 특조위 권고 이행하라'라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사진=김정남 기자)

     

    태안화력발전소에서 숨진 고(故) 김용균 노동자의 1주기를 앞두고 충청권 노동단체들이 "노동자들이 산업재해로 죽어가는 현실은 달라지지 않았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였다.

    민주노총 대전본부와 세종충남본부, 충북본부는 2일 오후 대전고용노동청 앞에서 규탄 결의대회를 열고 "28년 만에 산업안전보건법이 전면 개정됐지만 '김용균 없는 김용균법'으로 조롱을 당하는 현실"이라며 "특조위 권고안은 이행되지 않고 있고 죽음의 원인이 '도급'으로 규정됐음에도 발전사는 도급금지 제외에서 빠져 있다"고 비판했다.

    참가자들은 또 "정부는 사망사고 시 전면작업중단을 통해 근본적인 원인 규명을 하겠다고 했지만 그 지침은 지난 5월 부분작업중단으로 개악 변경됐다"고 지적했다.

    조종현 민주노총 충북본부장은 "단 하나도 변하지 않았다"며 "도대체 노동자들이 다치지 않고, 죽지 않고, 병들지 않고 일하게 해 달라는 그 외침을 왜 들어주지 않는 것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용균 노동자가 '떠난' 그 현장에서 여전히 일하고 있는 노동자 역시 정부를 향해 외쳤다.

    2일 오후 대전고용노동청 앞에서 열린 규탄 결의대회에서 참가자들이 산재 사망사고로 숨진 노동자들을 기리는 묵념을 하고 있다. (사진=김정남 기자)

     

    태안화력에서 일하고 있는 한국발전기술지부 소속 한 조합원은 "내년 총선에만 신경을 쓰고 있는 건지, 아니면 우리가 지쳐 포기할 때만 기다리는 건지, 노노갈등을 불러일으켜 문제를 해결하려는 건지 모르겠다"며 "그런 게 아니라면 하루속히 특조위 권고안을 수용하고 협상테이블로 나오길 강력히 요구한다"고 말했다.

    참가자들은 노동청 주변 거리 행진을 통해 특조위 권고를 이행하고 '위험의 외주화'를 멈출 것을 촉구했다.

    고 김용균 추모위원회 역시 1주기 당일인 오는 10일까지를 추모 주간으로 선포하고 문화제와 토론회, 촛불집회 등을 진행할 계획이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