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박원순표 재생도시 '창신·숭인'…이명박표 뉴타운 안부럽다



사회 일반

    박원순표 재생도시 '창신·숭인'…이명박표 뉴타운 안부럽다

    서울시는 창신숭인동 버려진 야산공터에 마을 공동 놀이터를 조성했다 (사진=서울시 제공)

     

    은평뉴타운과 길음뉴타운은 이명박정부 시절 처음 추진된 이른바 뉴타운 사업으로 기존의 주민들을 이주시키고 빈집을 완전 철거한 자리에 아파트 단지를 빼곡히 지어올리는 방식으로 재개발됐다.

    불도저로 밀어버리고 완전히 새로운 토대위에 아파트를 짓다 보니 서울 구도심 곳곳에 흩어져 있던 한옥 등 전통 가옥과 문화재적 가치나 보존 필요성이 있는 건물들까지 사라지는 경우도 생겨 지역 주민들의 아쉬움이 컸다.

    반듯하게 지어진 사각형 아파트단지는 겉보기에 좋고 살기에도 좋아 선호하는 사람도 많았지만 도심 곳곳에 들어선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마치 성냥갑 처럼 늘어서 도시미관을 더욱 단조롭고 삭막하게 만든다는 지적도 많았다.

    뉴타운식 재개발은 전국 다른 대도시로도 빠르게 번져나가 한국 도시의 외관을 아파트 중심의 천편일률적인 모습으로 탈바꿈시키는 원인이 됐다.

    서울시 종로구 창신동과 숭인동 역시 하마터면 뉴타운식 개발로 인해 이 지역이 품고 있던 문화유산과 시민들의 손때가 묻은 시설들이 사라질 위기를 맞았지만 주민들이 뉴타운식 개발방식에 반대하고 나서 '뉴타운 해제 운동'이 벌어졌고 주민의견이 모아져 2013년, 10월 뉴타운(재정비촉진지구)에서 해제된다.

    이듬해 박원순 서울시장이 이 지역을 전국 1호 도시재생지역으로 지정했다. 박 시장은 취임초부터 뉴타운개발을 배제하고 도시재생 방식으로 구도심을 정비하는 사업을 추진해왔다.

    서울시 관계자는 "전면 철거 후 새로짓는 대대적인 변화 대신 차곡차곡 쌓아온 동네의 역사와 이야기, 친숙한 삶의 터전을 주민 스스로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변화를 만들기로 결정한 사례"라고 설명했다.

    서울시의 도시재생은 ▲역사보존 및 재생 ▲봉제산업 활성화▲주민 일자리와 수익창출을 위한 도시재생협동조합 출범 ▲도시기반. 문화시설 확충 등에 초점이 맞춰졌다.

    일제시대 돌을 떼내던 채석장엔 전망대를 설치했다. (사진=서울시 제공)

     

    일제강점기 채석장과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 생가, 원각사가 재단장돼 이 지역의 랜드마크로 거듭났고, 서울 봉제산업의 메카인 창신숭인 봉제산업 재생을 위해 이음피움 봉제역사관 건립, 상상패션런웨이, 교육프로그램 소잉마스터 아카데미가 개설됐다.

    이 지역에는 실학자 이수광의 집 비우당과 박수근 화백의 화실 겸 집터, 가수 김광석이 살던 집 등 예술가들의 흔적도 곳곳에 남아 있다.

    골목길은 말끔히 재단장됐고 주민 소통공간인 창신소통공작소, 토월, 회오리마당, 수수헌 등 3곳의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돼 다양한 주민활동과 문화프로그램 참여도 가능해졌다. 방치됐던 야산 산마루에는 놀이터가 조성됐다.

    주민들이 설립한 지역재생기업 창신숭인 도시재생협동조합은 주민에 의한 지속가능한 도시자생 조직으로 지역사회의 공유자산을 활용해 수익을 만들어내고 이를 지역사회에 재투자해 도시재생을 이어가는 역할을 한다.

    비디오 아티스트 백남준기념관도 말끔히 재단장했다. (사진=서울시 제공)

     

    협동조합은 2017년 5월 설립된 이후 백남준기념관 내 마을카페와 주민공동이용시설을 운영하고 주민참여프로그램으로 일자리와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서울시는 1만3천여 세대가 사는 이 지역 도시재생에 지난 5년동안 200억원의 예산을 들였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